높은 순위노출, 저조한 클릭률(CTR)? 메타 디스크립션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의 조준석 AE 입니다.
검색엔진최적화(SEO)의 관한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 (SERP)에서 상위 노출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들이죠.
다만 SERP에 상위 노출 중인 광고를 운영 중임에도 가장 중요한 클릭률(CTR)이 저조한 광고주 분들도 계실 겁니다.
오늘은 이런 상황에서 가장 먼저 체크해 봐야 할 메타 디스크립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메타 디스크립션은 엄밀히 말하면 SEO 간접 신호로 검색 순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습니다만 클릭률(CTR) 차원에서는 매우 주요한 SEO 요소입니다.
메타 디스크립션은 html 태그 중 하나이며, 페이지를 설명하는 태그입니다.
페이지 내 비주얼 에셋으로는 적용되지 않지만, 검색 결과 페이지(SERP)의 설명에 반영됩니다.
검색 엔진의 페이지에 대한 평가에 따라서 검색 결과 반영 유무가 달라지는 리치/스니펫과는 달리 메타 디스크립션은 홈페이지 관리자가 직접 입력 가능합니다.
메타 디스크립션의 좋지 않은 예시
- - 키워드의 단순한 나열
- - 뉴스 기사의 경우 헤드라인을 그대로 가져다가 동일하게 사용한 디스크립션
- - 페이지를 요약하지 않음
- - 너무 짧은 단어 또는 문장
메타 디스크립션의 좋은 예시
- -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영업시간, 소재지(위치)를 상세하게 설명
- - 특정 뉴스 기사 발췌문 사용
- - 전체 페이지를 요약
- -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묘사
디스크립션의 길이는 통상적으로 네이버, 구글에 모두 대응하도록 한글 80자, 영문 160자 이내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드리며
더 정확한 작성을 원하신다면 각 채널별 가이드라인을 따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음은 좋은 메타 디스크립션을 작성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 입니다.
- - 경쟁사 조사를 통한 검색 의도를 고려한 디스크립션
- - 톤 앤 매너의 일관성
- - 키워드 삽입
- - 구글 트렌드나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한 트렌드 활용
- - 컨텐츠 업데이트
여기서 굳이 가장 중요한 팁을 꼽자면, 저는 키워드 삽입이라고 판단합니다.
타깃 키워드가 포함되지 않은 디스크립션은 사용자 설정해도 검색엔진이 마음대로 SERP상에 노출되는 디스크립션을 변경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CTA(Call-To-Action)를 사용한 클릭 유도까지 활용하신다면, 광고주님의 CTR이 높은 확률로 개선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CTR 개선을 위한 메타 디스크립션 최적화에 관한 내용을 전해드렸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지만, 여러 방면으로 생각할게 많은 메타 디스크립션 최적화는 광고주님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럴 땐 저와 같은 전문 마케터와 1:1 무료 컨설팅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아래 컨택 포인트로 연락 주시면 친절한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이상 AMPM 글로벌의 마케터 조준석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