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알고리즘 잘 타게 하는 법 알려드림 _Part 1.
유튜브 알고리즘! 어떻게 하면 이 로직을 타고 잘 노출이 될 수 있을까? 에 대해 말씀드리기에 앞서
우선은 이 유튜브 알고리즘 자체에 대해 어느정도를 알아야겠죠?
아래는 유튜브 알고리즘의 변천사를 간략하게 나타낸 자료인데요
이렇게 보시는 것 처럼 유튜브 알고리즘의 원리는 알겠는데, 그렇다면 유튜버로서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유튜브 알고리즘을 잘 타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기 위해 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3가지로 나눠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기본 환경 조성하기”
우선 우리 채널의 예비 시청자가 유튜브에 관련 검색어를 검색했을 때, 영상이 상단에 노출되기 위한 기본적인 환경을 조성해야 해요. 이를 위해서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 엔진 최적화)를 고려해야 하는데요. 유튜브 역시 구글과 같은 검색엔진과 다를바 없다고 생각하며 이를 대비해서 우리의 영상을 최적화 시켜야 합니다.
1. 제목 :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명확하게 포함하고 있나요?
가장 먼저 제목이에요. 예비 시청자가 검색을 통해 얻고 싶은 핵심 키워드를 제목은 반드시 포함해야 하죠. 예를들어 제가 ‘유튜브 알고리즘'에 대해 알고 싶다면, ‘유튜브 알고리즘’이라고 검색하기 마련이에요. 그래서 콘텐츠 제작자라면 시청자 관점에서 가장 많이 찾을 키워드를 생각하고, 이걸 명확하게 제목에 넣는 것이 중요해요.
다만, 단순히 클릭을 유도하기 위해 영상과는 상관없는 제목을 넣는 것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해요. 예를들어 유튜브의 역사에 대해 다룬 영상임에도 ‘유튜브 알고리즘'이라는 제목을 억지로 넣는다면, 초기에는 통할지 몰라도 유튜브가 해당 영상의 낚시성을 판별한 뒤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해요.
2. 설명/태그 : 이 영상의 주제와 핵심 내용을 유튜브에게 알리고 있나요?
제목이외에도 중요한 것이 있는데요. 바로 설명/태그입니다. 사용자가 특정 단어를 검색했을 때, 유튜브 검색 엔진은 그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검색 의도와 걸맞는 추천 영상을 찾죠. 그럴 때 우리 영상을 추천 영상에 뜨게 하기 위해 설명/태그는 필수입니다.
특히 하나의 핵심 주제와 키워드를 선택하고 이를 잘 반영할 수 있는 설명/태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어떤 유튜버는 해시태그만 수십개 다는 경우도 있고, 장황한 설명을 다는 경우도 있는데요.
설명/태그는 유튜브에게 이 영상이 어떤 영상인지에 대한 신호를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1) 핵심 키워드를 첫 번째로 설정하고, 2) 그 뒤 핵심 키워드를 기반으로 한 연관 키워드 2~3개 정도를 설정해서 태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해요. 설명 역시 이 영상이 어떤 영상인지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서술하면 충분하죠.
실제로 위의 ‘유튜브 알고리즘' 검색어의 1위 영상의 설명/태그를 봤을 때, #유튜브알고리즘 #유튜브구독자늘리는법 #유튜브구독자늘리기 등 이 영상이 유튜브 알고리즘과 이를 활용한 유튜브 구독자 늘리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죠. (실제로 영상 내용도 똑같아요.)
3. 대본 : 실제로 영상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말하고 있나요?
영상 안에서 말하게 될 내용도 중요해요. 물론 영상 제작자가 텍스트로 제목이나 설명 란에 직접 적는 내용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유튜브 역시 실제 영상 안에서 유튜버가 말하는 내용을 스크립트로 분석해 이 내용이 정말 유튜브의 사용자에게 도움이 될 지, 그들의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을지를 판단하죠.
그래서 영상을 게시할 때 제목/설명/태그 문구를 작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처음 영상을 기획할 때부터 만들 영상이 내가 타겟으로 하고 있는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또 실제로 영상 속에 그 키워드가 들어가 있어야겠죠. 이렇게 핵심 키워드와 그에 대한 내용이 적절하게 들어간다면 유튜브가 분석 후 이 영상이 사용자의 니즈 충족에 도움이 되는지 파악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유튜브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기 위한 세가지 중 첫번째 항목인 " 기본 환경 조성하기' 에 대해서만 다뤄보았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두번째 항목인 " 추천 영상에 떴다면 구독하도록 만들기" 에 대해 이어서 다뤄볼테니, 다음 글도 참고해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