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하는 마케팅의 공통점? STP 전략 몰라요ㅋㅋ
이번 시간에는 STP 전략에 대해 소개드리려 합니다.
STP 전략이란 쉽게 말해, 어떤 시장을 선택하고, 어떤 고객을 타겟으로 설정하며, 브랜드를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입니다.
이 전략은 신생 스타트업뿐 아니라 대기업이 신규 사업을 시작할 때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전략인데요,
함께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STP = Segmentation(시장 세분화) + Targeting(표적 시장 선정) + Positioning(포지셔닝)
1. Segmentation (시장 세분화)
세분화할 때 고려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의 규모는 충분한가?
- 고객 간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 접근성과 측정 가능성은 어떤가?
주요 세분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구통계적 변수예: 화장품은 남성보다는 여성이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
지리적 변수예: 해수욕장 용품은 해안 지역에서 수요가 높다
-
심리분석적 변수예: 건강을 중시하는 부모는 나트륨이 높은 라면을 꺼릴 수 있다
-
행동분석적 변수예: 한정판 캐주얼 의류는 편의점보다는 백화점에서 판매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변수들을 조합하여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핵심입니다.
2. Targeting (표적 시장 선정)
세분화된 시장 중에서 우리 브랜드가 집중할 ‘핵심 고객군’을 선택하는 것이 바로 타겟팅입니다.
모든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타겟팅 전략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 차별적 마케팅 전략
▪️ 비차별적 마케팅 전략
▪️ 집중적 마케팅 전략
3. Positioning (포지셔닝)
예를 들어,
-
‘매운 라면’ 하면 떠오르는 브랜드는? → ‘신라면’
-
‘담백한 라면’ 하면? → ‘꼬꼬면’
포지셔닝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장 내 경쟁사의 위치
2. 소비자의 니즈 및 인식
3. 자사 브랜드의 자산과 이미지
소비자의 머릿속에 ‘우리는 어떤 브랜드인가?’를 명확히 각인시키는 것, 그것이 바로 STP 전략의 마지막 퍼즐입니다.
경쟁사의 포지셔닝을 고려한 대표적인 사례로는 ‘라면 시장’을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운 정도’와 ‘가격대’라는 두 가지 축을 기준으로 다양한 라면 제품들이 포지셔닝되어 있다고 가정해볼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자사 제품을 출시하려면, ‘A라면’과 ‘B라면’ 사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 것인지 전략적으로 고민해야 합니다.
이처럼 ‘맛’(기능적 특성)과 ‘가격’(경제적 접근성)이라는 고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요소를 중심으로, 우리 브랜드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잡을 수 있습니다.
★ STP 전략 + 온라인 광고 접목하기 ★
STP 전략은 오프라인 전략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광고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Segmentation 단계에서는:
-
데이터 기반의 타겟 분류가 가능합니다.예: Google Analytics, Meta Pixel, NAVER DMP 등을 활용해 방문자 연령, 성별, 관심사 등을 파악
✅ Targeting 단계에서는:
-
디지털 매체의 타겟팅 기능을 활용해 예산을 집중할 수 있습니다.예:
-
GDN(구글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관심사/웹사이트 방문 기록 기반 타겟팅
-
NAVER 검색광고: 특정 키워드 검색자에게만 노출
-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광고: 행동 기반 및 맞춤 타겟 기능 활용 가능
-
✅ Positioning 단계에서는:
-
온라인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통해 브랜드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습니다.예:
-
“국내산 고추로 만든 진짜 매운 라면” → 매운 맛 라인에 강하게 포지셔닝
-
“가격은 저렴하지만, 프리미엄 국물맛” → 가성비 중심 고객에게 어필
-
혹시 관련 전략 수립이나 디지털 캠페인 집행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편하게 문의주세요!
★ 양다빈 AE / AMPM 글로벌 퍼포먼스 마케팅 1팀
02-6049-4452 ✉️ 전문 마케터와의 실질적인 상담 필요하면 편하게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