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뉴스] 지방에서 디지털 창업하는 20대 늘어 | 2024년 창업 시장 변화

작성자 김지효
작성일 2023.12.19
조회수 1089

안녕하세요. 매출과 브랜딩을 동시에! 마케팅 분석가 김지효AE 입니다.


어제 올라온 최근 기사를 가지고 왔는데요!  이 기사를 보고

디지털 창업이 늘어나는 이유와 전망, 앞으로의 발전 사항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5년새 매출 50배, 서울 왜 가요…20대 '디지털 사장' 지방 대박 [팩플]

정근영 디자이너정근영 디자이너

출처 :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5499#home>

울 대신 비(非)수도권에 거주하며 온라인 창업에 도전하는 90년대생 ‘디지털 상공인’들이 크고 있다. 음식·패션·잡화 등을 판매하는 소규모 자영업도 정보기술(IT) 플랫폼을 통해 급성장하는 이른바 ‘자영업의 스타트업화(化)’가 지역 청년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다.

17일 중앙일보가 네이버의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스마트스토어에 의뢰해 연령대별 신규 판매자(9월 기준)의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 20대에서 비수도권 거주자 비율이 39%로 나타나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았다. 30~50대 디지털 상공인 중 비수도권 거주자 비율(36%)보다 3%포인트 높은 수치다.네이버 관계자는 “최근 3년사이 20대 비수도권 신규 판매자 수가 추세적으로 계속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판매자 57만명에 달하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는 분기당 수만 명이 신규 창업자로 등록하는 국내 대표적인 소상공 창업 플랫폼이다.

정근영 디자이너정근영 디자이너

 출처 :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5499#home>

국내 20대 중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 비율은 54.9%(11월 말 기준)로, 20대는 30대(56.5%)에 이어 두번째로 수도권 거주를 선호하는 세대다. 질 좋은 일자리와 교육 기회 등을 찾아 이동하기 때문. 그래서 20대의 수도권 유입 인구도 전 연령대 중 가장 많다. 통계청 국가통계 포털(KOSIS)의 지난달 발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20대 59만 1000명이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순유입됐다. 같은 기간 20대를 제외한 다른 모든 연령대에선 수도권에서 빠져나간 인구가 더 많았다.

실제 온라인 플랫폼을 잘만 활용하면 전통적인 자영업도 스타트업처럼 빠른 시간에 크게 성장할 수 있다. 현재 스마트스토어 창업자 중 연 매출 1억원 이상을 올리고 있는 판매자 수(6월 말 기준)는 4만 5000여 명. 2017년 1만 1000명에서 4배 이상 늘었다. 전체 판매자 중 7.9%에 해당된다.

출처 :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5499#home>

청년 디지털 상공인, 뭐로 창업하나

90년대생 디지털 상공인들은 패션 아이템 창업을 선호했다. 연령대별로 창업 카테고리를 분석한 결과 20대는 생활건강, 패션의류, 패션잡화, 식품 분야에서 많이 창업했다. 특히 패션의류 분야는 20대 상공인들이 주도하는 시장이다. 이 시장에선 20대 사장님이 40대보다 170%, 50대보다 434%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 관계자는 “온라인 패션 소비자들이 젊기 때문에, 판매자도 20대가 많은 특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근영 디자이너정근영 디자이 너 

 출처 : 중앙일보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15499#home>

- 지방에서 디지털 창업하는 20대 늘어나는 이유와 전망

최근 20대 청년들 사이에서 지방에서 디지털 창업을 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들로 분석됩니다.

  • 1. 온라인 플랫폼의 보급과 발전

온라인 플랫폼의 보급과 발전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특히,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와 같은 플랫폼은 창업 비용과 진입 장벽을 낮춰주어 청년들의 디지털 창업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 2. 지역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

20대 청년들은 지역의 특산물이나 문화를 활용한 창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합니다. 또한, 수도권 일자리에 대한 과도한 경쟁과 스트레스를 피하고자 지방에서 창업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3. IT 기술에 대한 친숙함

20대 청년들은 어려서부터 IT 기술에 친숙하게 성장했습니다. 따라서,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디지털 창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이를 통해 창업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가 이어진다면, 2024년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 1. 지방 디지털 창업 시장의 확대

지방 디지털 창업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지역 특산물이나 문화를 활용한 창업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지방 디지털 창업 성공 사례의 증가

지방 디지털 창업 성공 사례가 증가하면서, 다른 지역 청년들의 창업 욕구를 자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지방 디지털 창업 인프라와 지원 정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 3. 온라인 플랫폼의 고도화

온라인 플랫폼이 더욱 고도화되면서, 디지털 창업의 편의성과 성공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마케팅과 고객 관리 서비스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방 경제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김지효 마케터가 궁금하다면? 


 김지효AE 마게팅 인사이드 채널 


https://inside.ampm.co.kr/ae-qnwkjh2310/member/?baepo=qnwkjh2310



 김지효AE 오픈 카카오톡 클릭 


https://open.kakao.com/o/sgkGl1Qf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구글광고가 대세라고?? 구글광고의 장점 및 세팅법 알려드립니다~!

▷ [마케팅 뉴스]오프라인의 강자 '다이소' 이커머스로 뛰어들다?

▷  2024년 유망 업종은?  데이터를 통해 미래 산업을 읽다.

▷ [마케팅 뉴스]연말결산! 대한민국 최대 이용자 모바일 앱 순위는???

▷이젠 나도 인플루언서가 될 수 있다? | 인플루언서 시장의 변화

▷[마케팅 뉴스] 美 대기업, 트위터 버리고 인스타 광고비 올린다.


댓글

0

㈜에이엠피엠글로벌 | 대표. 김종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44, 현대테라타워 11층 (가산동)
사업자등록번호 257-81-03674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0-서울금천-2858호
광고문의 | 퍼포먼스1본부 02-6049-4642 | 퍼포먼스2본부 02-6049-4111 | 컨설팅본부 02-6049-4621
Email | davi23@amp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