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율 높이는 META 캠페인 세팅 전략: AI 자동 vs 수동 타겟
안녕하세요! 오늘은 메타 어드밴지티 쇼핑 캠페인과 수동 캠페인의 운영 전략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어드밴티지 쇼핑 캠페인은 메타의 자동화 캠페인으로 빠르게 전환을 끌어오는 데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수동 캠페인과 어떻게 병행하거나 나눠야 할지가 핵심입니다.
1. 캠페인 차이점
항목 | 어드밴티지 캠페인 | 일반 캠페인 |
타겟팅 | AI 자동(신규/기존 타겟 구분만) | 상세 타겟 직접 설정 가능 |
노출 지면 | 자동(선택 불가) | 수동 설정 가능(피드, 스토리 등) |
예산 배분 | AI 자동 최적화 | 직접 세팅 |
캠페인 목표 | 주로 전환(구매, 상담 등) | 전환, 리드, 도달 등 유연 |
머신러닝 속도 | 빠름 (짧은 학습 기간) | 상대적으로 느림 |
※그렇다면, 언제 어드밴티지를 활용하고 일반 캠페인을 활용해야 할까요?※
1) 신규 제품 런칭/볼륨 확보 시 → 어드밴티지 캠페인 추천
- 빠른 테스트 + AI 자동 최적화가 장점
- 클릭 → 전환이 명확한 제품에 유리
※ 팁!
- 초반에 데이터를 빠르게 쌓고 싶을 때 짧고 강력한 어드밴티지 캠페인으로 출발하면 좋습니다.
2) 세부 타겟이 명확한 경우 → 일반 캠페인 추천
- 연령, 성별, 관심사 등 세밀 타겟팅이 필요한 경우
- 특정 업종/지역/상황을 타겟으로 할 때
※ 팁!
- 타겟별 메시지, 이미지 분할 테스트 진행 시 유리 (A/B 테스트 구조화 가능)
3) 브랜드 인지도 구축 or 상위 퍼널 광고 → 일반 캠페인 추천
- 어드밴티지는 전환 목적이 강해, 도달 및 조회 중심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음
- 브랜드 세계관, 이미지 노출 중심인 경우 일반 캠페인 활용
4) 재구매 유도 / 기존고객 리타겟팅 → 둘 다 활용 가능
- 어드밴티지 캠페인 내에서도 '기존고객 세그먼트'를 설정할 수 있음
- 다만, 리타겟팅 시에는 일반 캠페인이 유연하게 설정 가능
※ 팁!
- 구매 후 30일 이내 고객을 분리해 리타겟 캠페인으로 관리할 수 있음
※병행 운영할 때 주의할 점※
주의사항 | 설명 |
중복 타겟팅 방지 | 동일 타겟이 어드밴티지+일반 캠페인에 동시 노출 시 경쟁 발생 (비효율) |
예산 분산 주의 | 일일 예산이 너무 나뉘면 AI 학습 불충분 → 퍼포먼스 약화 |
캠페인 목적 통일 | 어드밴티지는 전환 목적에만 집중, 일반은 목적 다양화 가능 |
- 타겟을 기준으로 신규 고객 = 어드밴티지 / 기존 고객 = 일반 캠페인으로 나누는 방식도 효과적입니다!
여기까지 META 어드밴티지 및 일반 캠페인 운영 방법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편하게 문의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