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가 세팅만 제대로 했잖아? 인사이트 이딴 거 안 나왔어; (메타편)
안녕하세요! 광고컨설팅 3팀 김지원 마케터입니다 :)
오늘은 [매체별 광고 세팅 전략] 의 마지막 인사이트 글인데요!
'META'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1. META
메타 광고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META 플랫폼을 통해 노출되고 광고를 집행하는
스폰서드 광고입니다.
기존에 말씀드렸듯이 하나의 광고 세팅으로 여러 SNS 채널에서 노출되어
광고 집행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특히, 메타 플랫폼 사용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지금,
메타 광고는 필수적으로 집행해야 할 광고 중 하나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
메타 특징
1. 정교한 타겟팅 기능
: 이용자의 나이, 성별, 관심사, 행동, 위치, 구매 이력 등을 기반으로
세밀한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 Facebook pixel 및 meta API 등을 활용하여 웹사이트 방문자 행동을
추적하고, 리타겟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크로스 플랫폼 광고
: 하나의 캠페인으로 Fackbook, Instagram, Messenger, Audience Network 등
다양한 채널에 동시 광고 노출이 가능합니다.
: 즉, 하나의 캠페인을 설정하면 여러 SNS 채널 지면에서 노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다양한 광고 포맷
: 이미지, 영상, 슬라이드(캐러셀), 컬렉션, 쇼핑 광고, 카탈로그 등
다양한 형태의 광고 포맷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캠페인 목적에 따라 참여, 트래픽, 전환 등 선택이 가능합니다.
4. 성과 중심 최적화
: 클릭, 전환, 조회 등 다양한 목적에 맞게 자동으로 최적화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A/B 테스트, 캠페인 예산 최적화(CBO) 등 다양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합니다.
5. 비즈니스 중심 기능
: Facebook Shop, Instagram Shop, 카탈로그 연동 등
전자상거래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기에 E커머스 업종에서 광고를 집행하기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 고객과 직접 대화할 수 있는 창구(Messenger / Instagream DM)로 직접 소통이 가능한 구조입니다.
6. 비용 효율성
: 소규모 예산으로도 광고 집행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예산 관리 및 자동 입찰이 가능하기 때문에
초기 광고 집행 할 때 사용할 플랫폼으로 용이합니다.
: CPC, CPM, CPA 등 다양한 과금 방식 제공
2. META 세팅 전략
1. 캠페인 구조 설계 (계층별 목표 설정)
: 메타 광고 구조는 캠페인 -> 광고 세트 -> 광고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 여기서 캠페인 / 광고 세트 / 광고 각각의 목표는 !
캠페인 (Campaign) :
마케팅 목표 설정
(트래픽, 전환, 리드 등 각 광고의 목표를 설정하는 것)
광고 세트 (Ad Set):
타겟, 일정, 예산, 위치 설정
(광고가 노출되고자 하는 세부적인 타겟 설정과, 일정,
광고 예산 및 위치 설정 등 광고 세트에서 설정 가능)
광고 (Ad):
크리에이티브, 메시지 등 실제 노출되는 콘텐츠 설정
(노출하고자 하는 광고 동영상 혹은 이미지, 슬라이드 설정 및
광고 문구, 콘텐츠 지면 등을 설정 가능)
2. 타겟 설정 -> 초기에는 세분화한 타겟팅보다는 광범위 타겟팅
-> 머신러닝에 맡기기
: 너무 세밀한 타겟팅보다 초반에는 광범위하게 타겟팅을 시작하는 것이 좋음
: 머신러닝이 학습할 수 있도록 충분한 데이터량 확보가 중요하다
(50회 이상 전환 필요)
: 오디언스 중복 제거 - 동일 타겟에게 여러 광고 세트가 경쟁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이 필요
TIP! 머신러닝이 충분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초기에는 잦은 광고 수정은 지양하는 것이 좋음
3. 예산 설정 전략
: CBO 사용 시 자동으로 성과 좋은 광고세트에 예산이 배분됨
: 초기 테스트 시에는 소규모 예산으로 A/B 테스트 가능 -> 성과 기반으로 확장
: 일일 예산보다 >기간 예산<이 자동 최적화에 유리한 경우도 있어,
일예산/총예산 등을 전략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중요
4. A/B 테스트 시 중요 사항 (광고 소재 / 문구 / 타겟 등)
: 1가지 변수만 바꿔 여러 광고 조합 실험 (ex: 이미지 A/B or 문구 A/B 테스트)
: CTR(클릭률), CPA(행동당 비용), ROAS(광고수익률) 기준으로 성과 분석
: 성과 좋은 조합은 확장하여 광고 집행,
안 좋은 조합은 중단하는 방식으로 최적화 진행
5. 크리에이티브 최적화 & 광고 소재 피로도 관리
: 영상은 3초 이내 시선 끌기 필수, 모바일 최적화된 비율(1:1 / 4:5 / 9:16)을
활용하는 것이 좋음
: CTA 명확히 기재 (지금 구매 / 자세히 보기 / 더 알아보기 등)
: 빈도가 3-4 이상이면 새 소재 투입 검토
: 정기적으로 소재를 회전하여 광고 효율을 유지
6. 픽셀 및 전환 API 필수 세팅
: 웹사이트나 랜딩페이지에 META Pixel 설치
: 서버 브라우저 양쪽에서 전환 측정 가능하게 API 연동
: 정확한 데이터 수집이 전체 최적화의 핵심
-
지금까지 [세팅 제대로 하는 전략 : 메타편] 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똑똑하게 세팅하는 방법! 알아보니 어떠셨나요?
혹여나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어려운 부분이 있어도 걱정하지 마세요!
광고 세팅에 추가적인 궁금증이나, 세팅하는 방법을 알고 싶으시다면
저 광고컨설팅 3팀 김지원 AE 에게 광고 문의 주시면 친절하게 안내 드리겠습니다 - !
오늘도 좋은 하루가 되셨길 바라면서, 마지막으로 제 전자 명함을 보내드리며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