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SA·GFA 실전 가이드 | 네이버로 이커머스 매출 정체 탈출!

박가진 마케터
2025-10-14
조회수 : 46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1본부 2팀 박가진 마케터입니다!
“좋은 상품인데, 어떻게 알릴지 모르겠다”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오늘은 네이버 검색광고와 GFA를 활용해 매출 볼륨을 올릴 수 있는 실전 전략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 이커머스 업종에서 네이버가 중요한 이유 *
네이버는 국내 최대의 검색, 쇼핑 플랫폼입니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구매 전 검색을 시작하기 때문에,
검색결과와 광고 지면에 노출된다는 건 고객과의 첫 만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A와 GFA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SA: 지금 구매의도가 있는 고객을 직접 공략
GFA: 브랜드를 모르는 잠재 고객에게 노출 + 리타겟팅 가능
따라서 두 광고를 함께 운영하면 인지 > 고려 > 구매 > 재구매까지 고객 여정 전체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SA 운영 전략*
1. 캠페인 구조 설계
상품군, 브랜드, 구매의도별로 캠페인과 광고그룹을 구분하면 예산 효율과 분석력이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여름 원피스와 겨울 코트를 하나의 그룹에 묶기보다는
각 시즌별, 상품별로 분리하여 관리해야 명확한 성과 파악과 예산 배분이 가능해집니다.
2. 고효율 키워드 발굴
무조건 경쟁이 치열한 메인 키워드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전환율이 높은 롱테일 키워드의 발굴이 중요합니다.
또한 경쟁사의 광고 키워드를 분석하고, 어떤 문구나 소재로 고객의 클릭을 유도하는지 모니터링을 통해
자사의 브랜드가 차별화된 소구 포인트를 어떻게 가져갈지 방향을 세울 수 있게 됩니다.
3. 경쟁사 모니터링
광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경쟁사 분석이 필수적인데요,
- 쇼핑검색 영역에서 경쟁사들이 어떤 소구 포인트 (가격, 혜택, 트렌드 등)을 강조하는지
- 이미지 소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제품 단독컷, 무드컷 등)
- 자사 광고가 함께 노출될 때 경쟁사 대비 경쟁력이 있는지
크게 이렇게 3가지로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 네이버 GFA 운영 전략 *
1. 타겟팅 전략 수립
GFA의 가장 큰 장점은 정밀한 타겟 세분화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관심사 타겟팅
예: 홈트레이닝, 반려동물, 유아용품 등 관심 카테고리별 노출
- 행동 기반 타겟팅
쇼핑 행동(장바구니 담기, 특정 브랜드 페이지 방문 등)에 따른 세분화
- 구매 의도 기반 타겟팅
최근 검색 패턴을 반영해 구매 확률이 높은 유저에게 집중
광고 초반에는 타겟을 너무 세밀하게 좁히지 말고,
광범위 -> 고효율 구간만 남기기 방식으로 데이터 모수를 확보한 뒤
성과가 좋은 세그먼트로 점차 줄여가는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2. 리타겟팅
GFA의 가장 큰 이점은 리타겟팅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쇼핑몰을 방문했지만 구매하지 않은 고객, 혹은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 이탈한 고객에게 다시 접근이 가능합니다.
단순히 기존 트래픽 캠페인과 동일한 광고를 반복 노출하기 보다는,
방문 이탈 고객 -> 다시보기 중심의 친근한 메시지
장바구니 이탈 고객 -> 한정 할인, 무료배송 등 혜택 강조형 소재
구매 고객 -> 신규 상품, 추천 상품 중심의 소재처럼
고객 상태에 따라 맞춤형 메시지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SA, GFA 시너지 *
SA로 유입 -> GFA로 리타겟팅 -> 다시 SA로 검색
이 구조를 통해 SA와 GFA의 시너지 극대화 전략이 가능합니다.
업종마다 특성이 다르겠지만 광고별로 메시지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SA: 정보 중심, 명확한 효용 강조
GFA: 감성, 비주얼 중심, 인지 및 상기 효과 극대화
네이버SA와 GFA는 각각의 역할이 명확하지만,
함께 운영할 때 효과는 단순 합을 넘어섭니다.
구조화된 세팅, 정교한 타겟팅, 끊임없는 테스트를 통해 네이버 매출 성장을 원하신다면,
아래 명함으로 연락주세요!
댓글
0
박가진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