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애즈 '전환' 뒤에 소수점이 왜 나오나요?

황준호 마케터
2025-09-15
조회수 : 38
댓글 0
안녕하세요.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 2본부 1팀 황준호 AE입니다 :)
구글 애즈 보고서를 보다 보면, 가끔 “전환이 1.23으로 찍혀 있다”거나 “0.75 전환이 나왔다”는 걸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평소에는 1, 2처럼 정수로만 나오는 게 익숙하다 보니 당황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 현상은 구글 애즈의 전환 측정 방식 때문입니다.
*구글애즈 : 목표- 측정-기여분석 에서 확인 하실수 있으며, 전환에 대한 기여도를 설정 하실 수 있습니다.
1. 전환 기여 모델 때문
구글 애즈는 단순히 마지막 클릭에 전환 100%를 몰아주지 않습니다. 특히 데이터 기반 기여(Data-Driven) 모델을 쓰면, 한 사용자가 여러 캠페인을 거쳐 전환했을 때 각 캠페인에 기여도를 나눠서 반영합니다.
예시:
- 검색 광고 기여도: 0.4
- 유튜브 광고 기여도: 0.6
→ 보고서에는 전환이 소수점 단위로 표시됩니다.
2. 교차 디바이스/브라우저 전환
사용자가 모바일에서 광고를 클릭하고, PC에서 최종 구매를 하는 경우, 전환이 각 채널별로 분산 반영됩니다. 이 과정에서도 소수점 전환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전환 유형별 가중치
동일한 전환 액션에 여러 채널이 기여하면, 구글 알고리즘이 확률 기반으로 전환을 분배합니다. 데이터 기반 기여 모델을 사용하는 계정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납니다.
예시 캠페인 구조
사용자 여정:
[검색 광고 클릭] → [유튜브 광고 시청] → [구매 완료]
기여 분배:
- 검색 광고: 0.4 전환
- 유튜브 광고: 0.6 전환
- 총 전환: 1건
이처럼 전환이 소수점으로 나타나는 이유는, “캠페인별 기여도가 나눠진 전환”이라는 걸 의미합니다.
정리하자면
- 마지막 클릭 모델: 전환은 항상 정수
- 데이터 기반/선형/위치 기반 모델: 전환이 소수점 단위로 나눠짐
보고서에서 전환이 소수점으로 찍혀도 당황할 필요 없습니다. 단지 계정이 분배형 기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이해하면 됩니다.
이렇게 분석하면, 전환 수치를 볼 때 기여도가 나눠진 전환임을 고려해 더 정확하게 퍼포먼스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거나 꿀팁을 알고 싶으시다면
언제든 아래 연락처로 문의주시면 무료로 컨설팅 혹은 인사이트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02-6049-4608
감사합니다 :)
댓글
0
황준호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