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뷰티 업종 DSP 매체 & 전략 다알려드림!!**
안녕하세요 AMPM 김주현입니다.
지난 시간 제가 DSP 매체에 대해 설명드렸었는데요
DSP매체의 모든것(*링크)
오늘은 실전편인 '뷰티 업종에서 어떻게 DSP 매체를 활용하는지'
그 매체들과 전략에 대해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 광고 (네이버 N +)
네이버와 그 계열 매체를 통합한 '네이버+'를 통해, 광고 게재 위치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며,
외부 오디언스(MMP 연동)를 활용한 정교한 타겟팅이 가능합니다.
예) 뷰티 앱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리타겟팅 캠페인을 진행, MMP데이터를 연동하여 신규 고객 확보에 활용
2. 구글 퍼포먼스 맥스 (Performance Max)
AI 예측 엔진을 활용하여, 다양한 채널에서 광고를 자동으로 최적화하며,
전환당 비용(CPA)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예) 뷰티 제품의 다양한 광고 소재를 활용하여, 구글의 다양한 채널에서 자동으로 최적화 된 광고 집행
3. Appier(애피어)
AI 기반의 DSP플랫폼으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합니다
예) 뷰티 제품에 관심 있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여 전환률을 높일 수 있음
TALK) 이 밖에도, 메타버스 플랫폼(ex/제페토)는 화장품 및 패션 업계에서 높은 전환율을 보이고 있고,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한 옥외광고도 뷰티 제품에 관심 있는 타겟층이 자주 방문하는 지역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광고를 집행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대표적인 DSP 플랫폼에서 뷰티 업종 광고를 할 때, 어떻게 활용하는 지를 알려드렸는데요,
이번에는 2025년 뷰티 업종 타겟층들이 많이 이용하는 DSP 내 모바일 플랫폼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언니의 파우치
- 화장품 리뷰 기반의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사용자 후기와 평점을 통한 제품 신뢰도 확보 가능
- 회원수 약 130만명으로 뷰티에 관심 있는 핵심 타겟층에게 직접 도달 가능
- 커뮤니티 내에서 자연스러운 브랜드 노출 가능
2. 핑크다이어리(Pink Diary)
- 생리 주기 관리 및 여성 건강 정보 제공을 하는 어플로 뷰티 제품의 신뢰도 확보 가능
- 월간 사용자 수 125만명으로 뷰티 제품 주요 고객층에게 정확히 타겟팅 가능
- '핑크다이어리 쥬니어'와 같은 10대 타겟층을 위한 버전도 출시
3. 헤매코(Hemoko)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