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주 대부분은 타겟 세팅을 “연령 + 성별” 정도로 설정하고 끝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30~50대 여성” 같은 식이죠.
하지만 캠페인을 아무리 잘 세팅해도
매출이 나지 않는다면 ‘대상이 틀린 게 아니라, 내부가 너무 넓은 것’일 수 있습니다.
"30대 여성" 안에도 5가지 페르소나가 있습니다
같은 연령대라고 해서 같은 니즈를 가진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35세 여성이더라도
-
A: 5세 자녀를 둔 맞벌이 엄마
-
B: 갓 결혼한 신혼부부
-
C: 부동산 투자 관심이 많은 1인 가구
-
D: 출산을 앞둔 임산부
-
E: 부모님을 모시는 3세대 가족 구성원
이들은 모두 광고 세팅상으론 '같은 타겟'이지만, 실제로 반응하는 콘텐츠는 전혀 다릅니다.
결국, 광고 효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타겟 자체가 틀려서가 아니라,
타겟 안의 니즈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메타 캠페인의 세분화 방법: 관심사 말고 행동 기반으로 나누세요
메타 캠페인에서는 타겟을 나눌 때 흔히 ‘관심사 타겟’을 복수 설정하는데
이건 효율이 잘 안 나는 편입니다.
실제로 잘 되는 광고 계정은 행동 기반 타겟으로 세분화합니다.
예시:
-
“지난 30일 이내에 결제한 경험 있는 고객”
-
“상세 페이지 20초 이상 체류 + 클릭까지 한 고객”
-
“친환경 콘텐츠에 반응한 적 있는 팔로워”
이렇게 행동으로 묶은 타겟은 CTR과 전환율이 현저히 높게 나타납니다.
단순히 ‘관심 있음’으로는 묶지 마세요. 행동은 명확한 신호입니다.
전환이 잘 안 되는 캠페인, 이 2가지만 바꿔보세요
-
기존 타겟을 2개로 쪼개고, 서로 다른 소재로 테스트
→ 예: 35~49세 여성 → ‘육아맘용 문구’ vs ‘직장인용 문구’로 분리 -
문구 내에 니즈를 직접 콕 찌르는 표현을 넣기
→ 예: “아이 등원 보내고 운동하러 오세요” vs “야근 끝나고도 운동 가능한 시간대”
이런 식으로 나누면 전환율이 두 배 이상 차이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타겟의 정의가 너무 넓으면, 광고는 아무한테도 꽂히지 않습니다
요즘 같은 자동 타겟 시대에선
‘좁고 선명한 니즈 그룹’을 먼저 정하고 세팅을 맞추는 게 효율의 핵심입니다.
무조건 많이 보여주기보다는
"이 사람을 위해 만든 광고"라는 느낌을 주는 게 가장 강력한 전환 유도입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