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기식(건강기능식품) 마케팅 현직 마케터의 조합 알려드립니다!

김가경 마케터
2025-08-28
조회수 : 299
댓글 0
영상개요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찾고 계신가요?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어떤 미디어 믹스가 우리 브랜드에 최적화될지 막막했다면, 이 영상이 명쾌한 해답을 제시합니다. AM/PM 글로벌의 김가경 마케터가 2025년 건강기능식품 시장을 겨냥한 DA 미디어믹스 전략의 핵심을 짚어드립니다.
우선 DA 광고와 SA 광고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비자의 구매 고민 시간을 단축시키는 DA 광고는 다양한 문구와 소재로 잠재 고객을 빠르게 설득할 수 있죠. 반면, 이미 구매 의사가 높은 소비자가 직접 찾아오는 SA 광고는 전환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가 아직 부족하다면, 단일 채널 광고나 쇼핑 검색, 그리고 메타 광고를 조합하는 전략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메타(Meta) 광고 운영에서는 제품과 채널의 '핏'을 파악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스마트스토어와 자사몰 중 어느 채널에서 내 제품이 더 높은 전환율을 보이는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전환 추적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킵그로우 솔루션' 같은 유료 솔루션과 NT 파라미터 활용 팁까지 상세히 알려줍니다. 또한, 쿠팡, 올리브영 등 다양한 리테일사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협력 광고'의 유형과 베타 버전으로 새롭게 등장한 '스마트스토어 협력 광고'에 대한 실질적인 가이드도 놓치지 마세요.
틱톡(TikTok)은 빠른 성과 측정과 소재 테스트에 최적화된 DA 매체로 손꼽힙니다. 건강기능식품은 수많은 소재 발굴과 테스트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CPM이 저렴하고 간접 전환율이 높은 틱톡을 활용해 반응이 좋은 소재를 먼저 발굴한 후 다른 매체에 적용하는 ‘선 테스트’ 전략을 제안합니다.
네이버 GFA는 구매 연령층이 높은 건강기능식품 업종에 특히 효율적인 매체입니다. 네이버 ADvcost 캠페인을 활용해 구매 깔때기(퍼널)를 고려한 장기적인 운영 전략을 펼쳐야 합니다. 타 매체에서 유입된 고객들을 카탈로그 캠페인으로 리타겟팅하고, 트래픽/전환 캠페인을 거쳐 ADvcost로 잠재 고객을 발굴하는 3단계 전략은 장기적인 광고 효율 개선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광고 소재 기획에 있어서는 '예쁜 광고'보다는 '이유 있는 광고'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수한 타겟팅 실험이나 새로운 채널 발굴보다, 잘 만든 소재 하나가 불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빠르게 성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광고 문구, 이미지 등 한 번에 모든 것을 바꾸기보다 하나씩 변경하며 테스트하는 것이 성공적인 소재 발굴의 핵심이라고 귀띔합니다. 마지막으로, 캠페인 목적에 따라 CTR, CPC, CVR, 전환수, ROAS 등 적절한 지표를 활용하여 광고 품질과 빈도수를 확인하고 개선하는 노하우까지 모두 전수합니다.
이 모든 전략은 실제 실행에 옮겨졌을 때 비로소 그 의미를 발휘합니다. 데이터에 기반하여 우리 브랜드에 꼭 맞는 DA 미디어믹스 전략을 수립하고 싶다면, 영상을 통해 김가경 마케터에게 직접 문의하여 컨설팅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업종에서 배너광고를 똑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략
댓글
0
김가경 마케터의 영상교육 전체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