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사 홍보한다면 절대 이 글을 클릭하지 마시오

작성자 김주현
작성일 2025.04.14
조회수 47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마케터 김주현입니다.


여행 업종은 작년 통계, 국내 내국인 약 29조 8,600억 원, 외국인 6조 3,500억 원이며, 
해외  약 1,402만 명으로, 2019년 동기 대비 93% 수준까지 회복(2024년 1~6월 기준)하며,
코로나 펜데믹 이후 꾸준히 성장 중에 있습니다.

따라서, 여행 업종에 종사하고 계시는 대표님들은 마케팅을 어떻게 해야 할 지 고민이실텐데요!

2025 여행 트렌드를 알려드리기에 앞서서, 왜 여행 업종에서
트렌드 스터디가 필수 인지를 먼저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행 = 감성 + 유행 소비

  • 여행은 기본적으로 필수가 아닌 선택 소비. , 사람들의 감정과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수요가 크게 변화
  • (예: “파리에 간 김나영 영상파리 골목길 감성 여행 인기 급상승”)

  • SNS/미디어 영향이 강함

  • 유튜브, 인스타, 틱톡에서 핫플이 한 번만 터져도 해당 지역에 여행객이 몰림
  • (예: “넷플릭스에서 방영된환승연애촬영지 제주카페검색량 + 방문 급증”)


  • 세대별 트렌드가 다름

  • MZ세대: 소도시, 혼행, 자연 감성, 에어비앤비, ‘나만 아는 곳추구
  • 시니어 세대: 단체 패키지, 역사 문화 탐방, 안전성과 편리함 중요
  • 세대별 니즈가 달라서 마케팅도 매번 바뀜



  • 정세, 날씨, 환율, 안전 이슈에 민감

  • 일본 엔저일본 여행 붐
  • 전쟁, 자연재해특정 지역 여행 급감
  • 항공권, 유류할증료, 비자 정책 변화도 큰 영향


  • 시즌/캘린더 연동
  • 여름방학, 추석연휴, 5월 황금연휴 등 달력에 따라 수요가 폭발적으로 변동, 캘린더 마케팅이 필수




따라서, 여행 업종은 트렌드= 생존 입니다.
 트렌드가 바뀌면 고객의 여행지, 방식, 소비패턴까지 통째로 바뀌는 산업이기 때문에
여행 업종 마케팅을 하실 예정이라면, 트렌드 공부는 필수겠죠?!


이제부터 2025년 여행 업종 최신 트렌드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혁신도시는 지금]“더 개성 있게!” 여행 스펙트럼이 넓어진다 - 강원일보

먼저, 한국관광고사가 뽑은 2025 관광산업 8대 트렌드는 바로 S. P. E. C.T. R. U. M.입니다.
이는 ‘한층 더 개성적이고 다채로워진 여행의 색채’를 의미합니다.


  • S: 지속 가능한 지역 관광(Sustainable Regional Tourism Efforts)
  • P: 반려동물 친화 관광(Pet-Friendly Tourism)
  • E: 한류 산업 확장(Expansion of Hallyu Industry)
  • C: 미식 여행(Culinary & Gourmet Travel)
  • T: AI 기술 활용(Tech-Driven AI Advancements)
  • R: 웰니스 치유 여행 개인 맞춤화(Rejuvenating Wellness Travel)
  • U: 디지털 전환에 따른 개인 편리성 강화(User-Centric Digital Transformation)
  • M: 로컬리즘 추구(Movement Toward Localism)




  • 또한, 글로벌 여행 플랫폼 스카이스캐너에서는 2025년에 주목해야할 여행 키워드 7개를 발표했는데요


    • 카우보이 코어: 서부 황야 컨셉의 여행을 경험하고 싶은 여행자의 45%는 캠프파이어에 둘러앉아 함께 식사하는 집단적 경험 기대

    • 스포츠 모드: 스포츠 경기를 보기 위해 여행하는 25~34세의 18%는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며 소속감을 느끼기 위해 여행한다고 대답

    • 천체여행: 별빛이 쏟아지는 밤하늘 아래에서 잠을 자는 경험을 해보고 싶다는 응답 증가

    • 웰니스 투어: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행지에서 더욱 적극적인 방식으로 웰니스를 추구

    • 아트벤처: 몰입형 예술을 경험하기 위해 떠나는 여행자의 37%는 다른 사람들과 감상을 나눌 수 있기 때문에 떠난다고 대답

    • 가든투어: 자연과의 교감을 중시하는 여행자들이 증가

    • e스포츠 모드: e스포츠와 관련된 여행이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





      • * 세대별 여행 성향 특징
      • -  Z세대 : *올 클루시브 리조트 선호, 미식 여행, *스크린 투어리즘

      • * 올 클루시브 리조트: 숙박, 식사, 음료, 액티비티를 모두 한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리조트
      • * 스크린 투어리즘: 영화나 드라마 촬영지를 방문하는 여행

      • - 2030대: 인스타그램, 블로그에 주로 업로드, 맛집 선호
      • - 60대: 카카오스토리에 주로 업로드, 해외여행기간 6.7일로 가장 긺, 패키지 여행 63.3%, 5060대는 자연/유적지/온천 테마의 여행 즐김

      • - 전 연령대: 인기 여행지는 일본(43.8%), 동남아시아(39.8%)가 가장높음, 충전/선불카드 이용률이 전체적으로 증가, 일반 신용카드 이용은 66.4%가 50대, 24.3%가 20대


        • * 여행지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경험

        • 음식(70%), 자연 경관(64%), 관광지(62%), 소셜미디어(50%), 온라인 매체(49%), 영화와 TV(48%)

        • 요즘은 '미식/맛집'에 대한 탐방률이 늘면서 해당 검색 키워드가 많이 떠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여행 업종 마케팅 시 중요한 요소는 뭐가 있을까요?



        고객의 '감성' 자극


        -여행은 감정적 소비이므로, 비주얼과 스토리텔링이 핵심.

        • -사진, 영상, 후기, 블로그, 브이로그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이 효과적입니다.
        • (예시: “내가 가면 저런 느낌일까?” 상상하게 만드는 연출이 필요)

        • 퍼스널라이징(Personalizing): ‘내 취향 저격마케팅
        • AI 추천 시스템, 취향 분석, 연령·성별 맞춤 여행 상품 추천
        • (예시: “혼자 여행하기 좋은 일본 소도시 TOP5” 같은 콘텐츠)

        • 신뢰도 있는 정보 제공
        • 후기, 리뷰, 블로거 체험단, SNS 실사용 콘텐츠로 신뢰 구축
        • (예시허위 없는 가격, 일정, 조건 표기가 고객의 이탈을 막아줌)

        • 시기별 타깃 마케팅
        • 여행은 시즌성이 강하므로 성수기, 연휴, 프로모션 시점을 정확히 노려야 함
        • (예시: 설 연휴 패키지, 여름방학 가족여행, 5월 황금연휴 특가 등)

        • 소셜미디어 + 인플루언서 연계
        • 특히 MZ세대 대상이라면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 연계 필수
        • (예시여행 간접 체험을 유도하는 짧고 임팩트 있는 콘텐츠가 중요)

        •  모바일 최적화
        • 예약, 결제, 일정 확인 등 대부분이 모바일에서 이루어짐
        • (예시반응형 웹, 모바일 앱, 간편결제 UX까지 고려)

        • 데이터 기반 타겟팅
        • 검색 키워드, 고객 행동 패턴, 리타겟팅 광고, 구글/네이버/카카오 광고 분석
        • (예시일본 여행 관련 페이지 3번 방문한 고객항공+호텔 번들 광고 노출)

        •  긴 여정(LTV)을 고려한 리마케팅
        • 여행은 고민계획비교구매까지 시간이 긺
        • (예시초기 방문자를 놓치지 않도록 리마케팅/알림 마케팅/이메일 적극 활용)
         

        2939013384_1744262278.5513.png




        오늘은 2025 여행 업종 관련 트렌드와 마케팅 전략에 대해 소개해보았습니다.


        말씀드렸듯이 여행 업종에서 꾸준한 최신 트렌스 스터디가 필수적인데요

         

        저는 각 업종에 맞는 최신 트렌드를 늘 공부하고 업데이트를 합니다.


        이러한 탄탄한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각 브랜드에 맞는 1대1 맞춤 전략으로 차별화를 시키고 있습니다. 


        여행 업종 시장이 코로나 이후, 다시 핫 해지면서 경쟁을 위해 광고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실텐데요


        아무래도 광고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매출이 천차만별로 달라지기 때문에, 전문가의 손길을 빌려보고자 생각 많이 들 하실 겁니다.


        저 AMPM 글로벌 마케터 김주현은
        전문성, 철저한 분석, 차별화된 전략, 체계적인 관리, 확실한 성과를 약속 드릴 수 있습니다.

        광고를 집행하는데 있어서, BEST는
        바로 공식 광고 대행사인데, 저희 AMPM 글로벌도 공식광고대행사로써,
        수수료 없이 무료로 마케터와 협업하실 수 있다는 점!
        무료로 마케터 한명 둔다 생각하시고, 광고주님은 오로지 광고 단가만 지불하시면 됩니다!

        저와 함께 브랜드가 걸어야 할 길의 방향성을 잡고 싶으신 광고주님들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협업 제안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음에 더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2939013384_1744262251.9221.png
        ㈜에이엠피엠글로벌 | 대표. 김종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44, 현대테라타워 11층 (가산동)
        사업자등록번호 257-81-03674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0-서울금천-2858호
        광고문의 | 퍼포먼스1본부 02-6049-4642 | 퍼포먼스2본부 02-6049-4111 | 컨설팅본부 02-6049-4621
        Email | kimjuhyun@ampm.co.kr
        마케터 소개보기
        김주현 AE
        TEL. 02-6049-4249
        E-mail. kimjuhyun@amp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