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 크리스마스! 온라인 마케팅 전략 꿀팁이 도착했습니다!
마케터 이미지
김주현 마케터
2025-11-24

조회수 : 54

댓글 0


안녕하세요 퍼포먼스 1본부 4팀 김주현입니다:)


제목을 입력하세요 (81).png

다가오는 연말과 크리스마스 마케팅 전략 잘 준비하고 계신가요?

매년 11월과 12월은 전체 거래액이 가장 높은 시기인 것은 잘 알고 계실텐데요

특히나 이 시기를 많이 활용해야 할 업종과 

해당 업종이 각 매체별로 활용해보면 좋을만한 전략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말' 하면 떠오르는 것들이 바로 핵심 업종이다!'

여러분은 연말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연말은 선물, 홈데코, 크리스마스 행사에 관련된 물품의 수요가 증가하는데요

이런 카테고리에는 어떤 업종이 해당될지 살펴보겠습니다.


1. 뷰티, 향수  업종

크리스마스와 연말 선물 카테고리의 상위권에  위치해있는 업종입니다.

해당 업종은 경기가 좋든 좋지 않든, 타 업종 대비 경기 불황에 영향이 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히나, 선물세트, 홀리데이 에디션 구매가 전년 대비 꾸준히 증가하는 패턴이 관측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업종에서는 '감정적인 가치 소비'가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소구점을 잡으실 때, 코어타겟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소구포인트를 통해, 소재를 발굴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image.png

2. 주얼리 업종

주얼리야 말로 연말 선물 수요와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는 카테고리인데요

특히나, 액세서리, 주일리, 시계 등과 같은 기프트류는 12월에 전환율이 높아지는 패턴이 반복됩니다.

특히나, 크리스마스때는 커플간의 선물 수요가 증가 되기 때문에,

SNS 매체를 통해, 착용컷, 언박싱 콘텐츠들이 구매 전환을 빠르게 상승시켜줍니다.


image.png


3. 홈데코 업종

연말에는 집 꾸미기, 홈파티, 연말 무드 연출 등이 트렌드로 떠오르는데요

따라서, 캔들, 조명, 거실, 데코 아이템 등의 검색 쿼리량과 구매량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업종은 시즌 의존도가 앞서 나온 것들중 가장 크기 때문에, 크리스마스 테마 포함 소재는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업종은 이미지 기반 탐색이 높아, 메타나 구글 매체와의 궁합이 좋습니다.


이 밖에도, 실용적인 선물 선호가 증가함에 따라, 중저가~ 중간가격대의 소형 가전과 뷰티 디바이스 등도 

연말 선물 수요로 증가하는 카테고리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반려가구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펫도 가족이라는 감성 소비 트렌드가 겹쳐,

12월에도 구매량이 증가하는 구조를 보이는데요

반려 동물의 간식, 장난감, 의류 등의 가벼운 선물류가 강세를 보이면서, 

반려 동물 크리스마스 테마 옷, 선물 등이 메타와 구글 매체를 통해 수요가 증가 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image.png

각 매체별 전략(네이버, 메타, 구글 온라인 마케팅 전략)


이러한 업종들에서 각 온라인 매체별로 적용할 수 있는 꿀TIP들에는 뭐가 있을까요?


1. 네이버 전략


우선 네이버의 경우는 구매 의도에 따라 그룹을 분리해주는 방법입니다.

연말 니즈, 수요에 따라, '30대 여자친구 선물 추천', '연말 집들이 선물', '크리스마스 커플 선물 세트' ,  '가성비 선물 리스트' 등 의 

소구포인트를 발굴해낼 수 있는데요 이러한 의도에 맞는 메인키워드와 세부키워드를 발굴해주고, 

분리한 그룹에 맞는 확장소재 테스트를 통해,  낮은 경쟁도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세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시기에는 랜딩 페이지도 달리 해주는 것이 좋은데요

연말 전용 랜딩페이지를 생성하고, 기획전, 가격대별 선물 리스트 등의 랜딩 페이지로 이동시키면,

유입에서 이탈하지 않고 구매로 이어지게 하여, ROAS의 성과를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해당 시 GFA의 행동, 상황 기반 타겟팅이 더 잘 먹힌다는 패턴이 있어, 

홈데코, 주얼리, 뷰티 등의 앞서 나온 업종들의 경우, GFA매체를 활용해주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image.png


2. 메타 전략

메타의 경우는, 연말 전용 캠페인을 따로 생성해주셔야 하는데요

리타겟팅을 할 때, 연말의 경우 구매 주기가 짧다는 특징이 있어, 방문 시기를 너무 길게 잡는 것보다는

최근 방문자 중심으로 리타겟팅 해줄 것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위에서 간단히 말씀 드렸었는데, 뷰티, 향수, 주얼리, 반려동물 등은

감성 중심의 소비가 특징임으로 감성소재, 스토리형 소재 등을 테스트 해보면 좋고,

소형가전, 뷰티 디바이스 등은 시즌에 맞춘 혜택을 강조해주는 소재를 테스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image.png

 3. 구글 전략

구글 매체의 경우, 관심/검색 키워드, 경쟁사 사이트, 유사 앱 등 가장 디테일하게 타겟팅이 가능한 매체이기 때문에, 

연말의 구매 의도에 따라서, 명확히 타겟팅 하고 연말의 무드를 확실하게 보여줄 수 있는 영상 소재를 사용하기

적합한 매체입니다. 특히나 홈데코 업종은 BEFORE -> AFTER 로 영상을 통해, 무드 변화를 보여주는 소재가 효과적이고,

주얼리의 경우, 연말 무드에 맞는 반짝임과 착용감을, 반려동물 업종의 경우, 해당 제품을 사용했을 때 반려동물의 즉각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영상소재를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특히나 이러한 영상에서는 연말의 경우 짧은 탐색과 빠른 비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달하고자 하는 USP를 최대한 앞쪽 1-2초에 배치시킬 것을 제안드립니다.


길고 설명이 많은 소재보다는 핵심 컷 1~2개가 훨씬 높은 반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mage.png


오늘은 크리스마스와 연말 시즌에 주목해야할 업종과

각 매체별 온라인 마케팅 전략 꿀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원고에 나온 업종 말고, 다른 업종이더라도

연말 프로모션과 마케팅 전략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편하게

문의해주시면 브랜드에 맞는 1대1 맞춤 전략에 대해 말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김주현마케터에게 편하게 문의 주세요:D 


02-6049-4249

kimjuhyun@ampm.co.kr

김주현 전자명함_퍼1본4팀.png


댓글

0

김주현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02-6049-4249
평일 09시~18시(점심시간 12시~13시)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