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마케팅에 사용되는 필수 기초용어 정리
온라인에서 판매를 잘하기 위한 방정식이 있다는거 알고계신가요?
바로 유입 x 전환 x 객단가 입니다.
앞으로 어떤 판매 및 마케팅 활동을 하시던,
기본적인 이 방정식은 꼭 머릿속에 저장해주시고 전략적으로 접근하시길 바랍니다.
이번에는 온라인 마케팅에서 사용되는
필수 용어를 정리해서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온라인 마케팅 필수 기초용어 정리
CPC (Cost Per Click)
광고가 한번 클릭될 때마다 지불하는 비용입니다.
예를들어 광고비용을 100,000원 사용해서 총 100명의 사람이 광고를 클릭했다면
CPC 금액은 100,000 / 100 = 1,000원이 됩니다.
만약 같은 소재일 경우 200명이 클릭을 하게 된다면
CPC금액은 100,000 / 200 = 500원이 되지요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는 것처럼
클릭하고 싶은 '소재'를 만들어 내어 CPC 단가를 적게 만드는것이
좋은 효율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CPC = 광고비용/클릭수
CPM(Cost Per Mile)
광고가 1,000회 노출되는데 드는 광고비용입니다
예를들어 CPM이 1,000원이라면
1회 노출당 1원이 소비되고
1,000,000 노출시에는 1,000,000원이 소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메타는 CPC 단가를 낮추는 것이 중요한데
CPC단가를 낮추기위해서는 결국 CTR이 높아야합니다.
CTR이 높아지기 위해서는 소재가 중요하게되는 것이지요
(CPM단가는 타겟 크기에 따라 다르게 다르게됩니다)
CPM = 광고비/노출수 * 1,000
CTR(Click Through Rate)
광고를 본 사람중 몇명이나 클릭을 했는지를 비율로 나타낸것으로
클릭률이라고도 합니다.
1000명에게 노출되었을때 50명이 클릭을 했다면
CTR =50/1000*100 =5%
1000명에게 노출되었을때 100명이 클릭을 했다면
100/1000*100=10%
좋은 소재를 만들게된다면
CTR 또한 높아지게 되어
좋은 효율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CTR=클릭수/노출수 *100
CVR(Conversion Rate)
구매 전환율을 뜻하며 설치, 구매 등
어떤 목표인지에 따라 계산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예들들어 구매를 기준으로 할 경우
광고를 클릭한 사람이 100명이고, 실제 구매를 한 사람이 3명이라면
CVR은 3%가 됩니다.
CVR = 전환수/클릭수 *100
Bounce rate
CVR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탈률을 뜻합니다.
만약 CTR은 높은데 CVR이 적다면 컨텐츠를 소비하더라도
구매로 전환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기때문에
랜딩페이지의 상태를 점검해보거나
설정한 타겟의 재확인,
전환까지의 과정을 다시 체크해보는 등
문제점을 찾아 개선시켜야합니다
ROAS (Return on Advertising Spend)
광고 대비 수익률로 광고 대비 매출액 입니다
예를들어 광고비 100만원을 투자해서
400만원의 매출이 발생했다면
로아스는 4,000,000/1,000,000 *100 = 400% 가 됩니다
ROAS = (광고 매출/광고 투자비용) *100
END ROAS
손익분기점 광고 수익률
로아스의 경우 순수익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때문에
손익분기 로아스를 알고 있어야 전략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30,000원짜리 제품을 판매했을때
10,000원이 남는다면
(30,000/10,000)*100 = 300%
최소한 300%이상 로아스가 나와야하고
20,000원이 남는 제품이라면
최소 (30,000/20,000)*100 = 150% 로아스가 나와야합니다
END ROAS = (판매단가/마진) * 100
CPA(Cost Per Action)
광고를 본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특정 행동을 할때 발생하는 비용으로
회원가입, 설문작성 등 특정 행동을 할 경우 지불되는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온라인에서 교육업을 하는 광고주의 광고를 보고 유입된 소비자가
자신의 이름, 연락처 등을 적으라는
한 소비자가 광고를 통해 위와같은 행동을 할 때 20,000원을 지불해야한다면
CPA는 20,000원이 됩니다.
CPV(Cost Per View)
소비자가 일정시간 이상 광고 영상을 볼 때 광고비가 측정되는 방식으로
유튜브 같은 영상 플랫폼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CPV = 광고비용 / 총 뷰수
광고를 진행하기전, 어떤 목적을 가지고 집행할것인지를 생각한 후 전략을 짜는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홍보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CPT/CPM 방식이 유리하며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들어오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CPC가 유리할 수 있지요
따라서 기본적인 개념은 익힌상태에서
어떤 목표를 가지고, 어떻게 운영해나갈것인지는 상황에 맞춰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관건입니다
광고에 관해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시면 자세한 상담 도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Contact : 02-6049-4279 / 010-3917-9337
E-mail : mhy@amp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