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진행 중 가장 많이 받는 질문 BEST 10
마케터 이미지
최민우 마케터
2025-10-28

조회수 : 39

댓글 0

안녕하세요 오늘은 광고 진행 중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

10가지를 뽑아와 봤습니다!


Q1. 왜 클릭은 많은데 전환이 안 나오나요?
A. 클릭이 높다는 건 관심을 끌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랜딩페이지의 설득력, 구매 동선, 가격 경쟁력 중 하나라도 약하면 전환으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클릭 이후 행동 데이터를 분석해 이탈 구간을 찾고, 홍보문구와 페이지를 일치시켜야 합니다.

Q2. 예산은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요?
A. 업종마다 다르지만, ‘의미 있는 데이터가 쌓이는 최소 비용’이 중요합니다.

하루 3~5만 원 수준으로는 최적화가 어렵고, 최소 1~2주 단위의 학습 예산을 확보해야 합니다.

초기엔 테스트 예산, 이후엔 효율 구간에 맞춘 탄력 운영이 핵심입니다.

Q3. 광고를 켠 지 며칠 안 됐는데 왜 바로 매출이 안 나오나요?
A. 광고는 알고리즘 학습 기간이 필요합니다.

특히 메타·구글은 약 7일간 학습 데이터를 축적해야 타게팅이 안정화됩니다.

이 시기를 ‘비효율’로 단정하지 말고, 최소 7일~14일은 유지 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Q4. 우리 브랜드는 어디에 노출되고 있나요?
A. 매체별로 노출 위치가 다릅니다.

네이버는 검색·쇼핑 영역, 메타는 피드·릴스·스토리, 구글은 디스플레이·검색·유튜브 영역 등입니다.

각 지면별 성과를 분리 분석해, 브랜드에 맞는 고효율 지면에 집중 배분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Q5. 타깃을 세밀하게 잡을수록 성과가 좋아지나요?
A. 오히려 아닙니다.

너무 세밀한 타겟팅은 도달을 제한하고, 알고리즘의 학습 효율을 떨어뜨립니다.

초기에는 넓게 열고, 전환 데이터가 쌓이면 그때 세분화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Q6. 광고문구를 자주 바꿔야 하나요?
A. 잦은 수정은 알고리즘 학습을 초기화시킵니다.

단, CTR이 일정 기간 하락하거나 소재 피로도가 높을 때만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1~2주 단위로 소재를 테스트하고 성과 상위 소재를 유지하는 방식이 이상적입니다.

Q7. 왜 내 광고는 다른 브랜드보다 비싸게 클릭되나요?
A. 경쟁입찰 구조 때문입니다.

키워드 혹은 타겟 경쟁 강도가 높으면 CPC가 상승합니다.

하지만 클릭당 단가보다 중요한 건 전환당 비용(CPA)입니다.

단가보다 효율지표 중심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Q8. 광고 리포트에 ROAS가 높게 나왔는데 매출이랑 안 맞아요. 왜 그런가요?
A. 각 매체의 추적방식 차이 때문입니다.

쿠키, 태그, 앱 이벤트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 결제 매출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선 GA4, CRM 매출 데이터와 함께 통합 지표로 봐야 합니다.

Q9. 광고만으로 매출이 오르나요?
A. 광고는 ‘유입’ 역할입니다.

이후의 구매율은 사이트 UX, 제품력, 후기, 고객 경험이 결정합니다.

즉, 광고는 매출의 일부 요인일 뿐, 전환 구조와 콘텐츠가 함께 움직여야 전체 효율이 올라갑니다.

Q10. 그래도 광고가 정말 효과가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가장 객관적인 방법은 ‘비교’입니다.

광고 전후 기간의 트래픽·전환·매출 데이터를 비교하고, 리타게팅 비율·신규 고객 비중·구매 반복률을 함께 분석하면

광고의 실질적인 영향력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의문 사항이 있으셨다면 해결되셨길 바라며,

이 외에도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연락 바랍니다!


댓글

0

최민우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