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만 알면 마케팅 할 수 있습니다: 검색 광고(2)

작성자 박현지
작성일 2024.03.18
조회수 917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1:1 밀착형 마케터 박현지 입니다.




비자가 먼저 찾는 몇 안되는 광고! 검색 광고 세팅법 2탄으로 돌아왔습니다 :)


간단하지만 소비자들을 끌어오기 좋은 검색 광고는 마케팅에 필수이기 때문에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광고 그룹 설정의 중요한 포인트를 집어드리니까 천천히 따라오시면 문제 없으실 겁니다~!




* 광고 그룹 설정





맨 첫번째 URL에서 신경을 좀 써야 하는 부분은 사이트 이름과 URL에 들어갈 랜딩 페이지를 보시면 됩니다!

비즈 채널과 사이트 이름은 네이버에서 알려줍니다~ 실제 노출인지 임의 등록인지 하지만 URL의 경우 따로 안내 문구가 없죠?


실제로 사용하시는 메인 도메인을 해놓으셔야 합니다. 메인 도메인을 해야 검수가 완료되기 때문인데요,

보통 비즈 채널의  검수는 1-2일 정도 소요 돼서 통과 된답니다.





하루 예산 설정의 경우 원하시는 원하시는 입찰가를 설정하시면 되고, 최대 비용의 경우 캠페인에서 설정한 값에 따라 나눠도 됩니다.


자신만의 세팅법에 따라 예산을 설정해두면 되는데 개인차가 있는 만큼 제품에 따라 고민해보시고 설정하는 게 좋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광고 그룹 내의 예산은 캠페인에 설정한 해당 예산에서 나눠 먹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후에 하루 예산을 설정하시고 이 키워드에서 나눌 하루 예산을 설정하시거나 제한이 없다고 설정 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초반에는 키워드 성과 분석을 위해 제한이 없는 편으로 설정해두고 진행합니다. 추후 나오는 데이터를 통해 세부 조정을 하면 되니까요.




이렇게 기본을 다 하셨고 고급 옵션을 펼쳐 보시면 광고 그룹에서 중요한 매체가 나옵니다.





앞서 1탄에서 말한 것처럼 피시와 모바일을 분리해주는 노출 매체 유형, 개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분리 운영은 광고비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 방법이니 꼭 분리 해주시길 바랍니다.


검색 매체나 콘텐츠 매체가 있는 것이 보이실겁니다. 네이버 기본매체가 아닌 매체에도 노출 할지 여부를 제품이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생각해본 다음 설정하시면 되는데 보통, 줌이나 잘 안보는 포털 사이트는 제외를 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어, 피시 모바일 입찰 가중치는 따로 디바이스를 분리 안 하신 분들에게 중요할 수 있는 요소인데, 전체로 진행해서

만일 피시 검색량이 적은 키워드를 설정하시고 계신다면 80%만 조정하며 설정하는 거죠. 하지만, 따로 분리했다면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나머지 고급 옵션의 소재 노출 방식 등은 기존 설정해둔 대로 성과 기반, 키워드 확장은 일치로 해두시면 됩니다.





오늘도 간단했던 검색 광고 세팅법 어떠셨나요~ 3탄에선 마지막 광고 만들기의 전반적인 절차나 키워드 꿀팁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알려드린 정보에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거나 광고 컨설팅에 도움을 받고 싶다면 소통 전문 밀착형 마케터인 저, 박현지에게 문의 주시면 됩니다.


하단 상담을 통해 편히 찾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저의 글을 읽어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