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광고 도대체 어떻게 시작하는거야?

작성자 유호준
작성일 2024.04.09
조회수 684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장연우입니다.

제가 오늘 소개할 주제는 [네이버 검색광고]입니다.

동의어로는 파워링크, 키워드광고, SA 등이 있습니다.



네이버의 검색광고는

모바일과 PC버전으로 각각 하단과 같이 뜨는 광고를 뜻합니다.


제목 15자, 설명 45자, 메인링크를 기본으로 설정하며

서브링크 외에도 사진, 행사제품에 관한 링크 등으로

확장소재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 파워링크의 가장 큰 장점은 곧 네이버의 장점과도 같습니다.

외국에서도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가면 한국인 뿐이는 말이 있을 정도로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대부분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입니다.

그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얻고, 구매를 하려고 하는 곳에

그것도 직접적인 키워드별로 사람들에게 노출이 되면

전환의 확률이 다분하기 때문입니다.


상단의 사진에 나와있는 '파워링크(상위10개)'를 포함해

같은 형식으로 나와있는 검색어 하단에 배치되는 '비즈사이트(5개)'

그리고 사람인, 알바천국, 뽐뿌, ZUM 등과 같이

네이버의 제휴매체사에서도 이 광고들을 볼 수 있습니다.

파워링크와 비즈사이트는 순서대로 각 키워드당 입찰가+품질지수의 영향으로

(클릭당비용X클릭 수)만큼  충전해둔 비즈머니에서 빠져나가는 형식입니다.




그렇다면 기본세팅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가장 중요한 것이 [타겟팅]입니다.

모바일/PC인지 선택인지부터 시작해

노출제외 지역/시간 등으로 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도구'탭에서 키워드 검색시 메인키워드의 노출량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불필요한 키워드들을 제외키워드로 설정하거나

앞서 언급했던 제휴매체사의 노출유무를 설정하여

광고비가 과소진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도 있습니다.

외에도 키워드별로 별도의 URL을 설정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이렇게 설정을 해둔 것이 잘 해둔 것일까?

설정만큼 중요한 것이 관리인데요.

설정만큼 중요한 것이 관리인데요.

보고서란에서 원하는 주제에 맞게 보고서다운이 가능합니다.

매일매일 엑셀파일 형식으로 보는 것이 불편하다싶으면,

모든캠페인의 상세데이터 관리에서

그래프 등으로 수치를 한 눈에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마무리를 하기 전에 클릭당 비용

즉 CPC를 금액을 줄일 수 있는 팁을 드리자면,


앞서 언급했던 '품질지수'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기본 4칸을 시작으로 7칸이 만칸이며,

풀칸일 경우 같은 금액의 입찰가를 등록해도

타곳보다 상단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지표는 없지만, 검색의도의 요구를 얼마나 잘 잡아내고 있는가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을 것입니다.




해당 사항들을 잘 관리하셔서 더 적은 비용으로

많은 광고효과를 누리시길 바라겠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본부 4팀 장연우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