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동 타겟팅 – 사용자의 행동을 기반
(이커머스 업종일 경우 관심사보다 행동 타겟을 거는 게 좋을 때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초반엔 논타겟 관심사와 행동 타겟 확장을 통해서 더 넓은 범위로 테스트으로 진행하다가 어느 정도 데이터가 쌓이면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해야 초반엔 안정적으로, 후반엔 확장성 있게 광고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4. 리타겟팅 광고는 언제 시작하는 게 좋아요?
- 최소 1~2 주 이상 데이터가 쌓였을 때 시작하는 게 좋습니다.
방문자 수 · 장바구니 이탈자 수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리타겟팅을 돌리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리타겟팅 광고는 우선 전체 예산에 10~20%만 사용하여 운영해보세요!>
5. 인지도나 트래픽 캠페인으로도 전환이 나오나요?
- 가능은 하지만 인지도, 트래픽 캠페인은 전환이 목표가 아니라 "많이 보여주고, 도달하는 것"에 집중하는 캠페인이라
판매 캠페인보다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웹사이트 유입량을 늘리고 싶을 땐 - 트래픽 캠페인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싶을 땐 - 인지도 캠페인
자사의 목표에 따라 캠페인 운영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6. 피드 vs 스토리 vs 릴스, 어디가 전환이 제일 좋아요?
릴스 - 신규 유입 (후킹성 높음)
피드 - 제품의 상세 정보 보여줄 때 (자세한 설명 필요할 때)
스토리 - 임팩트, 충동구매 유도 (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는 특성 상 충동구매 유도에 적합)
업종, 타겟에 따라 세 가지를 다 써보고 성과 좋은 쪽에 예산을 집중하는 게 정답입니다.
7. 사진 광고 VS 영상 광고 중 뭐가 더 효과 있나요?
- 영상은 주목도가 높지만, 간결한 사진이 더 잘 팔리는 업종도 많아요.
다만, 리뷰의 관여도가 높은 업종이라면 영상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좋겠죠?
8. 광고 시작하고 왜 며칠은 성과가 안 나와요?
초기 학습 단계 (Learning phase)라서 그렇습니다.
이 시기엔 알고리즘이 타겟과 반응 데이터를 모으고 있어서 성과가 불안정하니
최소 !! 일주일은 지켜보셔야 합니다.
9. 머신러닝 학습 제한 (Learning Limited) 이 뜨면 어떻게 해야 해요?
머신러닝 학습 제한 - 전환 수가 부족할 때 뜨는 경고
예산 · 타겟 · 소재를 조정하여 전환 수를 늘리거나, 캠페인을 통합해 학습 데이터를 모아주세요.
머신러닝 제한됨 이 뜬다고 해서 꼭 성과가 나쁜 건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제한이 생긴다는 점 인지해주시길 바랍니다.
10. 광고가 갑자기 노출이 줄어드는 건 왜 그래요?
경쟁 심화, 예산 소진, 광고 품질 저하, 계정 · 소재 제한 등 여러 원인이 있습니다.
갑자기 노출이 떨어지면 우선 예산, 타겟, 소재 상태를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자주 하는 질문 10가지를 정리해 보았는데요,
어려움이 있으시거나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아래 프로필을 통해 연락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