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즈의 타게팅 기능 2가지 - 맞춤 세그먼트 / 관찰
안녕하세요
오늘은 구글 애즈(ADS) 내 타게팅 기능 중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 않는 기능 중 두 가지인 맞춤 세그먼트 기능과 타겟 관찰 기능에 대해 말씀 드리겠습니다.
맞춤 세그먼트 기능
구글 내 사용자 타게팅(관심사, 구매의도), 콘텐츠 타게팅(키워드, 주제), 개재위치, 리타게팅 등 다양하고 정교한 방식의 여러 타게팅 방식을 제공함으로서 우리의 잠재 고객들을 끌어옵니다.
구글에서는 잠재 고객을 나눌 때 ⑴ 관심분야 잠재 고객 ⑵ 구매 의도 잠재 고객 ⑶ 맞춤 잠재 고객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잠재 고객이라 함은 현재 우리의 고객은 아니나 곧 우리의 고객이 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집단 입니다.
그 중 구매 의도 잠재 고객은 구매 의도가 있는 고객을 말하며 광고주가 제공하는 것과 동일 혹은 유사한 상품(제품 / 서비스)를 구매한 적이 있거나 구매를 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고려하며 탐색하고 있는 집단입니다. 즉, 구매 의도 잠재 고객은 광고를 통해 전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집단이기 때문에 광고주 입장에서는 이런 구매 의도 잠재 고객층을 얼마냐 많이 확보하냐에 따라 광고의 질이 달라지겠죠.
맞춤 잠재 고객은 나만의 맞춤형 잠재 고객 목록을 생성하는 방법입니다. 키워드 / url / 앱 등을 활용하여 고객에게 도달하는 방법입니다.
그렇다면 [맞춤 잠재 고객이 구매 의도 잠재 고객이 될 수 있을까요?] 라고 물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에 대한 대답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입니다.
맞춤 잠재 고객으로 설정하는 고객층은 너무나도 넓기 때문에 그 중 핵심적인 고객층인 구매 의도 잠재 고객을 확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즉, 구매 의도 잠재 고객의 대부분은 맞춤 잠재 고객내에 속하지만 맞춤 잠재 고객의 범위는 너무나도 넓기 때문에 우리는 핵심고객을 잘 골라내야만 합니다.
구글에서 맞춤 잠재 고객을 생성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사용자들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1. 구글에서 다음 검색어를 하나라도 검색한 사용자
2. 특정 유형의 웹사이트를 둘러보는 사용자 (ex: 경쟁업체를 둘러보는 이용자)
3. 특정 유형의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관련있는 앱을 사용하는 이용자)
이 세그먼트 기능을 이용해 구글 애즈 내에서 핵심 구매 의도층을 골라내는 것이 마케팅 성과를 높이는 기술이 되겠습니다.
관찰
관찰의 경우는 논타게팅 방식 즉, 타게팅을 하지 않은채 도달 범위를 가장 높인 상태에서 광고 성과를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이후 광고 성과 지표를 확인하여 핵심 구매 타겟층을 확인할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에는 초기 예산 소진액이 많을수록 데이터 확보가 유리하기 때문에 소액 광고 집행보다는 예산 소진이 클 경우에 적합한 타게팅 방식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구글 애즈 내 타게팅 기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
▶ 마케터 더 알아보기 / 무료 컨설팅 받기
https://inside.ampm.co.kr/ae-knadey/?baepo=knadey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