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어떤 포맷이 성과가 좋아요?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김민서입니다.
디지털 광고에서는 어떤 포맷을 선택하는가에 따라 광고 성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메타에서는 다양한 광고 유형을 제공하고, 업종과 목표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광고 포맷의 특징과
운영 전략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광고 포맷과 특징
*릴스 광고
- 15~30초 길이의 숏폼 동영상 광고
- 자연스럽게 피드에 노출되어 높은 도달률을 보임
- 트렌디한 음악과 빠른 템포의 영상이 효과적
*피드 광고
- 뉴스피드에서 사용자의 콘텐츠 사이에 노출
- 이미지, 동영상, 슬라이드 형태로 제공
- 도달, 전환, 참여 등 다양한 마케팅 목표에 활용 가능
*스토리 광고
- 인스타그램·페이스북
스토리에 전체 화면으로 노출
- 즉각적인 반응(사이트
방문, DM 문의) 유도에 강점
- 짧은 시간 안에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해야 효과적
*카탈로그 광고
- 이커머스 플랫폼과 연동하여 제품 정보 자동 노출
- 리타겟팅 및 대량 상품 홍보에 최적화
- 구매 전환율을 높이는 데 강한 효과
2. 광고 성과 비교 – 어떤
포맷이 효과적일까?
- 도달률 → 릴스 > 스토리 > 피드
> 카탈로그
- 참여도(좋아요, 댓글, 공유) → 릴스 > 스토리 > 피드
> 카탈로그
- 클릭률(CTR) → 릴스 > 스토리 > 피드
> 카탈로그
- 전환율(CVR, 구매/회원가입) → 카탈로그 > 피드 > 스토리 > 릴스
3. 광고 포맷별 최적화 전략
*릴스 광고
- 초반 **3~5초 내
강한 메시지 전달**
- 트렌디한 음원 & 텍스트
오버레이 활용
- CTA 문구 삽입(예: "지금 확인하기")
*스토리 광고
- 광고 시작 즉시 제품 강조
- 짧고 명확한 CTA 포함(예: "위로 스와이프!")
- 움직이는 이미지·애니메이션
활용
*피드 광고
- 타겟 맞춤형 콘텐츠 제작
- 영상 콘텐츠 활용으로 성과 향상
- 명확한 CTA 제공(예: "지금 구매하세요")
*카탈로그 광고
- 제품 이미지 & 가격
명확히 표시
- AI 기반 개인화 추천 적용
광고에 정답은 없듯이 업종별로 성과가 보장된 포맷은 없으나
KPI에 맞춰 최적의 광고 전략을 짠다면 효율적인 광고 운영을 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포맷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여러 광고 상품을 운영하여
우리 브랜드에게 꼭 맞는 최적의 광고 조합을 찾아보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