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광고를 하는데 전환성과가 안나오시는분들 주목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조은영마케터입니다.
오늘은 SA광고 대비 DA광고의 전환 성과가 안나오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DA광고 전환이 잘 안나온다기보다는 배너광고의 홍보효과를 받고 구매를 생각하거나 고려하는 소비자들 중 바로 구매하지 않고 추후에 키워드 검색을 통해 구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구매패턴을 보면 알 수 있으실텐데요. 잘 모르겠다면 본인의 구매패턴을 분석하는 것도 좋습니다.
상상을 해보았을때, 실제 웹이나 앱에서 우연히 마주친 제품이나 서비스에 호기심을 느끼게 되면 바로 구매하시나요?
아마 포털사이트 혹은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실제 사용자들의 리뷰 등을 검색해 보고, 나름 분석을 한 후에 구매를 하실겁니다.
그럼 구매를 어디서 하시나요?
대부분 키워드를 검색 후 사이트에 들어가서 구매하시게 될건데요, 이게 바로 SA광고의 전환성과입니다.
위 예시와 같이, DA광고는 SA광고 전환성과의 서포트 역할과 초기에 관심고객에게 홍보하는 효과를 담당합니다.
그럼 DA광고에 대해 알아봅시다
DA광고 즉 배너광고는 이미지나 동영상, 사이트 및 모바일 웹 페이지에서 보이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광고를 말합니다.
포털사이트메인 혹은 뉴스텝이나 연예, 스포츠탭에서 배너형태로 광고가 진행되는 것을 보신적이 있으실겁니다.
배너광고의 목적은 대부분 자사 브랜딩을 목표로 하거나 리타겟팅을 하는것입니다.
내가 쇼핑몰에서 한번 봤었던 제품이나 비슷한 제품이 핸드폰 혹은 PC를 사용할 때 옆에 광고로 보였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겁니다.
이런 광고가 바로 광고주 사이트 방문 후 이탈한 98% 잠재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 타겟팅, '리타겟팅'이라고 합니다.
리타겟팅의 장점은 내 제품이나 브랜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다시 노출이 되기 때문인데요.
마케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대상'에게 내 마케팅 활동을 보여줄것이냐입니다.
장점이 있으면 단점도 있겠죠?
몇번의 타겟팅으로 전환이 일어났는지 사용자의 실제 구매행동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는것이 리타겟팅의 단점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정보만을 수집해서 사용자의 관심을 끌만한 리타겟팅 콘텐츠를 제작하는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리타겟팅 대상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먼저 2가지가 있는데요
1. 관심사 타겟팅
사용자가 관심을 보일 컨텐츠나 상품을 기반으로 타겟팅하는 형식입니다.
해당 컨텐츠나 상품과 관련하여 정보를 수집합니다.
2. 행동타겟팅
사용자의 행동을 기반으로 타겟팅하는 방식입니다.
사용자가 장바구니에 담았지만 구매하지 않은 물품들처럼 특별한 행동을 통한 대상들을 타겟팅하는 방법입니다.
리타겟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려면 명확한 메시지와 행동을 유도하며, 광고가 사용자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노출이 되는지 또한 눈에 끌리는 디자인 인지 고려해야하는데요, 한번 방문했던 고객에게 다시 자사제품이나 브랜드를 노출하는 것 이기 때문에 무분별한 리타겟팅은 오히려 반감이 들수도 있습니다.
또한 노출빈도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조절해야하는데 너무 많은 노출로 피로감을 느끼지 않도록 기간의 설정도 상당히 중요합니다.
SA광고의 가장 큰 단점은 이탈률이 높다는 것 인데 리타겟팅 방법을 통해 어느정도 다시 불러들일 수가 있습니다.
또한 신규고객에게 널리 알리고자 할 경우에는 SA광고보다는 DA광고가 효과적입니다.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DA광고를 통해 SA광고의전환을 올리거나 DA광고 자체적으로 전환성과를 끌어올릴 수 있을것입니다.
제가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제 DA광고와 SA광고를 같이 진행해야 하는이유 아시겠나요?!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