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안경(선그라스)업체 효율 개선 사례
안녕하세요 광고 퍼포먼스 4팀 전지솔입니다.
오늘은 광고 성과 사례에 대해 소개 시켜드리려고 합니다.
해당 업체는 패션 안경 (선그라스) 업체로
현재 크게 광고를 집행하고 있지는 않지만 연예인을 기용해서 모델로 내세울 만큼
작은 업체는 아닙니다.
다만 광고주 성향이 광고비에 높은 예산을 편성하는 것을 원치 않고 있어
해당 부분에 대해서 조율이 필요했는데요
그래서 우선적으로는 예산 < 효율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셋팅하였습니다.
이관전 데이터 입니다. (24.5)
이관후 데이터 입니다. (24.7)
전체적으로 광고비는 감소하였지만 전환수 및 전환율이 개선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에 따라 수익률도 개선시킬 수 있었습니다
위의 데이터는 브랜드 검색을 포함한 데이터이기 때문에 브랜드 검색을 제외하고도
5월달에는 쇼핑검색 기준 82% 였지만
7월달에는 쇼핑검색 기준 257% 까지 올릴 수 있었습니다.
기존에는 일반 키워드 및 자사명 키워드의 구분 없이 운영 되고 있었으며
판매되는 밴더사가 많고 패션 잡화 특성상 다양한 곳에서 취급되어 광고를 하고 있어
메인 키워드를 제외하고도 자사명 키워드에서도 경쟁이 높은 편이었습니다.
그래서 메인 키워드에서 성과 없는 키워드는 제외하고
자사명 키워드 위주로 셋팅하되 자사명 키워드에서도 최대한 경쟁도를 낮출 수 있는
키워드끼리는 따로 합집합하여 그룹핑 하였습니다.
또한 여러 제품을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제품 특성상
저렴한 비용으로 리타겟팅을 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광고주 측에서도 스마트스토어 매출을 높이는 부분을 중점으로 고려해주셨기 때문에
GFA 를 통한 카탈로그 지면도 제안 드렸습니다.
현재 카탈로그 연동 기준 8월 28일부터 진행하였고
그결과 꾸준히 구매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바구니에 담는 분들도 많아 이분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톡톡 메시지도 제안 드린 상태입니다.
제품 단가가 낮지는 않기 때문에 수익률도 높게 나오고 있으며
아무래도 카탈로그 특성상 비용 대비 고객들에게 자주 노출되는 부분이
전환률을 높일 수 있던 비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약에 내가 현재 스마트스토어를 키워보고 싶다 혹은
스토어 내 알림받기 고객이 많은데 활용을 어떻게 해보면 좋을지 모르겠다 하시면
언제든지 문의 요청 드립니다 :)
이상 AMPM 전지솔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