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하나로 전환까지, 바이럴 전략 공개
바이럴 마케팅 시작하셨나요?
퍼질 수 있는 구조부터 갖춰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차지은 AE입니다.
마케터 프로필에서 더 많은 글 보기
경쟁사가 늘어남에 따라 광고비도 상승하는데
이상하게도 매출은 떨어지는 게 현상황 입니다.
이때 필요한 게 바로 바이럴 마케팅인데요!
KPI를 측정하기에 적합한 수단은 아니지만,
적은 금액으로도 높은 효과를 내는 좋은 솔루션이죠.
그렇다면 어떤 전략을 세워야 할지,
요약부터 보여드리겠습니다.
간단! 요약 정리
✅고객의 감정을 건드릴 수 있는 메시지 설계
✅고객 니즈에 맞춘 콘텐츠 기획
✅내 브랜드의 ‘핵심 키워드’ 명확히 잡기
전략 1. 감정 자극은 바이럴의 본질
예시: 2014년도 허니버터칩 품절 대란
- “없어서 못 먹는 과자”
- “너는 먹어봤어?” 라는 FOMO 자극
- SNS 인증샷 > 입소문 확산 > 전국 품절 사태
이 사례는 희소성, 소속감, 궁금증 같은 감정을 자극한 결과입니다.
공유하고 싶은 감정이 만들어졌고, 콘텐츠는
그 감정을 퍼뜨리는 수단입니다.
전략 2. 콘텐츠는 ‘고객 니즈 기반’으로 제작
예시: 에비앙, 동영상 광고 실패 사례
- 3D로 구현된 아기가 물을 마시고 춤추는 영상
- 화제성은 높았으나, 브랜드 이미지와 관련도가 떨어짐
- 영상은 웃기다로 끝났으며 실매출 감소
제품과 무관한 콘텐츠는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고객이 자사의 제품을 사는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작해 보세요!
전략 3. 브랜드 키워드 중심으로 설계
바이럴 콘텐츠로 구매를 부르기 위해서는
가성비 유산균은 ‘락토핏’으로 생각나는 것처럼
소비자에게 인식을 남기는 게 중요합니다.
지금 많이 공유되는 콘텐츠는,
결국 가장 잘 계산된 콘텐츠입니다
Q. 바이럴 마케팅을 시작하고 싶으시다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