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 스킨케어 브랜드를 위한 여름철 4단 전략》
기초 스킨케어 브랜드는 대부분 여름에 매출이 떨어집니다.
이런 말 들어보셨거나, 현재 느끼고 계신가요?
특히나 이번 여름은 워낙 더웠다 보니까 피부가 더워지고 유분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이 기초 루틴 자체를 줄이거나 제품을 덜 바르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렇기에 가뜩이나 구매주기가 있는 상품군인 에센스, 크림 등의 판매량이 떨어지고
선크림, 쿨링스틱, 클렌징과 같은 여름성 계절 상품 외엔 극도로 매출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어요.
이런 상품군을 판매하지 않고 있는 브랜드라면 직격타를 맞을 수 밖에 없죠.
또한 대부분의 주요 구매층인 2030 여성분들이 휴가, 휴학 등으로 소비 루틴에서 이탈하게 되면서
콘텐츠 노출기회 자체가 많이 줄어드는 편입니다.
많은 브랜드가 이러한 계절성 이슈를 "이벤트", "쿨링", "수분", "청량감" 과 같은 키워드 세팅 혹은
특정 상품에 기대는 것으로 해결을 하는데요.
하지만 피지 분비 증가, 유수분 밸런스 붕괴, 화장품 흡수력 저하로
오히려 기초 케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잘 알리기만 해도 평소보다 낮은 경쟁으로 성과를 볼 수 있는 시기 이기도 합니다.
뷰티 브랜드 광고주님들이 경력있고 화장품 브랜드에 관심이 많은 뷰티 마케터를 찾는 게 바로 이런 부분 떄문인데요.
오늘은 다년간의 뷰티 브랜드 관리 경력으로 기초 브랜드가 여름 시즌에 대비해 취해야 할 4가지 전략을 정리해봤습니다.
1. 해결적 소구를 써야합니다. (파워링크)
-
“민감성 진정”, “속건조 케어”, “피지+유수분 밸런스” 등
여름에 생길만하 ㄴ피부 고민을 전면에 내세운 광고 소재 재정비가 필요합니다. -
“더운 날에도 무겁지 않은 수분”, “피부 온도 낮춰주는 쿨링 진정 토너” 등
소비자가 공감할 수 있는 상황형 문구가 메인 카피로 와야 클릭률과 전환이 높아집니다. -
추천 키워드:
-
여름 진정 수분크림 / 민감성 피부 여름 / 피지케어 에센스 / 수분 진정 기초세트
-
-
2. 쇼핑검색광고에서는 '올인원 + 효율적 단가' 강조 (쇼핑검색광고)
-
여름은 “가볍고 빠르게”라는 소비 트렌드가 강해요.
그렇기에 **2~3단계의 최소 루틴 세트 구성(토너+에센스+젤크림)**으로 단순화하고
이것만으로 여름 준비를 완성할 수 있다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상세페이지나 설명을 구성하면 전환율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어요
-
또한 제품명에는 소재 + 기능 + 계절성 키워드가 포함되어야 CTR이 높아지는데요.
여름 민감케어, 수부지 전용, 라이트, 수분크림, 무향, 비자극, 진정 등의 키워드 구성이 인기가 높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브랜드들이 이 정도는 사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한 번 노출이 되더라도 우리 브랜드를 기억하고 유입이 될 수 있도록 소재 구성을 신경 써야하고
브랜드별 예산은 한정되어있기 때문에 무조건적인 상위노출만을 노리기보다는
지속적인 테스트 및 소재 관리를 통한 예산 효율화가 같이 들어가야 해요.
3. “기초템도 시즌템”이라는 인식 전환 콘텐츠 발행 (바이럴 마케팅)
-
“선크림만 바꾸면 끝?” "여름에 기초템을 교체해야 하는 3가지 이유" 등의 질문형 콘텐츠 도입으로
소비자 인식 전환을 유도해야 합니다. -
블로그/카페형 콘텐츠는 “고객 실제 후기 → 전문가 TIP → 제품 제안” 구조가 효과적이며
-
브랜드 스토어 리뷰 기반 UGC(사용자 후기형 콘텐츠) 활용도 병행을 추천드립니다.
4. 리타겟팅용 DA/메타광고는 ‘냉각+진정’ 메시지로 시각화
-
여름철 DA 소재는 ‘맑음/땀/유분/열감/빨개짐’ 등의 문제 인식형 비주얼로 시작해야 합니다.
소재가 덥고 답답해보이면 클릭 자체가 유발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요.
-
“속은 건조한데 겉은 번들” → “피부 속 온도 낮추는 진정 루틴”
같이 before/after 느낌을 살려야 전환율이 높아집니다. -
메타(릴스/인스타)용 소재는 짧은 텍스트 강조 & 제형감 강조 영상을 추천드려요.
→ 손등에 묻혀 바로 스며드는 ‘얇은 제형’ 강조 / 유분기 없음 강조
마무리: 여름은 위기가 아니라 ‘루틴을 바꿀 명분’이 생기는 시기
여름 시즌은 기초 브랜드에게
✔ 민감피부 타깃 유입
✔ 루틴 교체 수요 창출
✔ 성분/가벼움/흡수력 기반 차별화
를 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검색광고와 콘텐츠, 타겟 메시지를 ‘여름형’으로 바꾸는 순간
전환율은 다시 살아날 수 있어요.
그렇다면 이 내용들과 우리 브랜드의 제품을 어떻게 섞어서 적용을 해야 좋을까요?
세팅 이후 관리는 과연 어떻게 해야할까요?
자세한 내용은 계절성 이슈를 아는 뷰티마케터, 신솔아 AE에게 연락주세요.
전화/메일을 통해 대표님 브랜드 상황을 듣고 줌/오프라인 미팅을 먼저 진행해드립니다.
신솔아 AE
Tel 02-6049-4628
mail ssa9206@ampm.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