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폰케이스 광고, 디자인이 보이지 않으면 팔리지 않아요.
(폰케이스 광고, 폰케이스 마케팅, 감성 케이스, 굿즈 광고 전략)
휴대폰 케이스 시장은 매년 새로운 디자인이 쏟아지고, 소비자의 취향은 매 시즌 달라집니다. 저가 상품이기 때문에 회전률도 높죠.
하지만 많은 브랜드가 ‘좋은 디자인’을 가지고도 매출로 이어지지 못하는데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디자인 제품을 기능 상품처럼 광고하기 때문”입니다.
1️⃣ 폰케이스는 기본적으로 ‘감성 제품’입니다.
폰케이스, 키링, 스티커 같은 디지털 굿즈는 실용성보다 "내 취향"인지가 더 중요합니다.
실용성 위주의 맥세이프라고 하더라도 기본적으로 깔끔한 디자인, 내 취향이 아니라면 전환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죠.
폰케이스 없다고 휴대폰 구동이 안되는 것도 아니고, 기존 폰케이스를 계속 해서 쓴다고 해서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그렇기에 소비자는 ‘필요해서’가 아니라 ‘예뻐서’ 구매합니다.
검색을 할 때도 “아이폰 투명케이스”보다 “감성 폰케이스”, “학생 폰케이스 추천”, “귀여운 캐릭터 케이스” 같은 감정형 키워드를 더 많이 입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브랜드는
- 텍스트 위주 OR 메뉴가 지나치게 세분화된 상세페이지 
- 기능 설명 중심 문장, 
- 파워링크(텍스트 광고) 중심의 세팅 
그렇기에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어려워지는 것인데요.
심지어 파워링크 메인 키워드 단가가 2,000~3,000원 대로 낮지도 않기 때문에 ㅠㅠ
비싸봤자 2~3만원대 객단가일 폰케이스,굿즈 업종에서 이렇게 되면 마진 자체가 남지 않게 될 수 있어요!
2️⃣ 파워링크가 전부는 아니다
폰케이스 업종에서 자주 보이는 구조가 있습니다.
👉 “폰케이스” 키워드로 파워링크 광고 → 상세페이지 진입 → 단일 이미지 + 가격 노출.
이 구조는 검색유입에는 성공하지만, 디자인 매력도가 노출되지 못해 전환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실제 캠페인 데이터를 보면
- CTR(클릭률)은 높지만 
- 전환율이 1% 이하로 급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파워링크 단가를 낮추기보다,
✅ GFA(네이버 배너)
✅ 메타(인스타그램/페이스북)
✅ ADN(커뮤니티 배너)
처럼 디자인 자체가 매력적으로 보이는 매체로 확장해야 합니다.
특히 10대~30대 여성 중심의 구매층은 “글보다 이미지”에 반응합니다.
3️⃣ 상세페이지의 핵심은 “텍스트가 아닌 비주얼 설득”
폰케이스 상세페이지의 절반 이상은 시각 설득 영역입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셀러가 ‘가격, 재질, 배송’ 위주 문장으로 구성합니다.
이건 곧바로 이탈로 이어집니다.
폰케이스 상세페이지는 ‘쇼룸처럼’ 시각적 흡입력이 있어야 합니다.
🔹 상단 3초 안에 디자인이 시선을 잡아야 하며,
🔹 브랜드 톤앤무드(로고, 색상, 폰트)가 일관돼야 하고,
🔹 CTA(“내 폰에 입히기”, “지금 스타일 완성”)가 감성적으로 배치되어야 합니다.
이런 페이지는 단순히 ‘판매용’이 아니라, 광고소재로도 재활용 가능한 자산이 됩니다.
SNS 광고, GDN, GFA 등에서 동일 톤으로 쓰면 CTR이 1.5배 이상 상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디자인 제품은 “반복 노출”이 전환을 만든다
폰케이스는 충동구매형 제품입니다.
다만 경쟁사가 많을 뿐입니다.
그렇기에 한 번 봤다고 바로 구매하지는 않지만,
홈페이지 방문객 / 혹은 동일 지면에서 여러차례 노출을 하다가 인지도가 생기고 관심이 생기면 구매가 일어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DA(디스플레이) + 리타겟팅 광고를 병행해야 합니다.
단기 클릭 중심보다는
‘디자인 익숙도’를 쌓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당연히 익숙해질 수 있도록 브랜드 일관성도 갖춰야하고, 우리만의 독창성이 드러나는 메인 제품군을 선정하는 게 좋겠죠?
5️⃣ 폰케이스 광고의 정답은 ‘노출 매체’와 ‘비주얼 메시지’의 균형
폰케이스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입니다.
하지만 **“보여지는 구조를 제대로 설계한 브랜드”**는 여전히 성장합니다.
- 파워링크로는 브랜드 검색시 유입을 
- DA/GFA로 ‘디자인 노출’을 확대하고, 
- SNS로 ‘감성 브랜드’를 구축하는 것. 
이 세 가지가 맞물릴 때,
비로소 감성 제품이 ‘전환형 브랜드’로 바뀝니다.
또한 객단가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기 위한 구글 / 카카오모먼트 / ADN 등 경쟁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면 확보를 꾸준히 하시는 것도 중요하구요!
결론: 예쁜 케이스도 보여주지 않으면 팔리지 않는다
폰케이스 광고는 키워드보다 ‘시각적 설득’의 싸움입니다.
“디자인이 예쁜데 왜 안 팔리지?”라는 질문을 던지신다면,
그건 아마 디자인이 고객 눈앞에 보이지 않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는 파워링크 하나로는 부족합니다.
브랜딩형 콘텐츠 + 리타겟팅형 광고 + 감성형 상세페이지의 3박자가 필요합니다.
문의주시면, 제가 도와드릴게요 :)
신솔아 AE
02-6049-4628
ssa9206@ampm.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