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최해담 AE입니다.
최근 모바일 명함 앱, 리멤버가 기업가치 5,000억원을 인정받아 매각 절차를 진행중이라고 하는데요,
그만큼 이 어플에 대한 유저들의 이용률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리멤버에도 다양한 광고 구좌가 존재하는데요, 그렇다면 리멤버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요?
1. 플랫폼 특성 및 타겟
-
B2B 52% / B2C 48%
→ 비즈니스 네트워킹 기반 플랫폼이지만, 절반에 가까운 B2C 이용자도 존재해 브랜드·서비스의 범용 타겟팅이 가능. -
연령대 비중
-
24
27세: 55% (취업 초기성장 단계) -
28~31세: 19% (경력 발전기)
-
32~35세: 16%
→ MZ세대 전문직 종사자가 핵심, 커리어·소득 성장 욕구가 강한 집단.
-
-
경력 분포
-
경력직 74%
-
신입 15%
→ 구매력 및 의사결정권을 가진 중·고경력층 집중 공략 유리.
-
이미지 제안: 연령·경력 분포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원형 차트 & 타겟 페르소나 이미지.
2. 광고 효율성 데이터
-
CTR(클릭률) 평균: 업종에따라 2%~5%+ 수준
→ 일반 디스플레이 광고 대비 높은 수치 (국내 평균 약 0.5~1% 대비 최대 5배 이상).
-
업종별 클릭률이 고르게 분포, 특히 전문서비스·교육·IT 분야에서 강세.
마케팅 시사점:
-
성과형 광고에 최적화 가능.
-
카피라이팅과 이미지가 직업적 동기와 연결되면 CTR 극대화 가능.
-
특히 B2B·고부가가치 서비스에 효과적.
3. 광고 포맷 및 장점
-
네이티브형 콘텐츠 노출로 배너 피로도 최소화
-
직군, 연령, 경력, 산업군 기반 정밀 타겟팅 가능
-
리멤버 앱 내 뉴스피드/콘텐츠형 광고로 높은 몰입도 확보
이미지 제안:
-
리멤버 앱 내 광고 노출 예시 스크린샷(뉴스피드형·콘텐츠형 비교)
-
타겟 필터링 UI 모형도
4. 활용 전략 제안
-
B2B 서비스
-
세일즈 리드 확보 캠페인 (예: 세미나, 웨비나 등록 유도)
-
업계 뉴스·트렌드와 연결된 인사이트 콘텐츠 제공
-
-
B2C 프리미엄 서비스
-
자격증, 교육, 커리어 개발 프로그램 광고
-
금융·투자, 고급 소비재 (시계·자동차·부동산) 타겟
-
-
브랜드 인지도 확장
-
직장인 공감형 콘텐츠 활용
-
카카오톡·네이버·구글과 크로스 채널 리마케팅
다음 글에서는 리멤버의 다양한 광고 구좌를 알아보겠습니다!
추가적인 광고문의 / 상담은 아래의 연락처로 언제든 편하게 부탁드립니다.
sundam0405@ampm.co.kr
02-6049-4490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