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형 광고에 집착해야하는 이유!
마케터 이미지
최해담 마케터
2025-08-19

조회수 : 17

댓글 0

생성된 이미지


네이버·카카오, ‘피드형 광고’ 강화의 의미와 전략적 시사점


1. 배경: 검색에서 피드로 이동하는 소비자


  • 과거 국내 디지털 광고의 중심은 검색광고(네이버 파워링크, 키워드광고)였음.

  • 그러나 최근 이용자들은 단순 검색보다 피드형 콘텐츠 소비에 더 많은 시간을 쓰고 있음.

    • 네이버 → “My Place / 주제별 피드” 강화

    • 카카오 → 카카오톡 채널·카카오뷰에서 맞춤형 피드 제공

  • 이는 검색 → 발견(Discovery) 구조로의 변화임.


2. 플랫폼 전략: 왜 피드에 집중하나?


  • 체류 시간 확대: 검색은 짧고 목적지향적, 피드는 오래 머무르게 만듦.

  • 광고 재고 확장: 검색 키워드는 한정적이지만, 피드는 무한 확장 가능.

  • 콘텐츠 커머스 연결: 단순 정보 노출이 아니라, 스토리텔링 기반 구매 전환 가능.

  • 글로벌 경쟁 압박: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숏폼의 급성장에 대응 필요.


3. 광고주 관점의 변화 포인트


  1. 키워드 타겟팅에서 콘텐츠 타겟팅으로

    • 단순히 “대출”, “보험” 같은 키워드 입찰에서

    • “재테크 관심 피드”, “30대 직장인 금융 콘텐츠”와 같은 주제 기반 노출로 확장됨.


  2. 브랜딩+퍼포먼스 결합 필요

    • 피드 광고는 검색처럼 즉시 전환이 아닌, 인지 → 관심 → 탐색 단계를 거침.

    • 따라서 CTA만 강조하는 광고보다는 브랜드 메시지와 가치 전달이 함께 필요.


  3. 콘텐츠 크리에이티브 역량 중요

    • 피드형 광고는 네이티브 광고 성격이 강함.

    • 자연스럽게 콘텐츠에 녹아드는 카드뉴스, 숏폼 영상, 이미지 크리에이티브 필수.


4. DB 업종에 적용할 수 있는 전략


  • DB업종(대출, 보험, 교육 등)은 기존에 검색 의존도가 높았음.

  • 하지만 검색 광고 단가 상승(CPC↑)과 규제 강화로 효율 저하.

  • 피드형 광고를 활용하면:

    • “재무 관리 꿀팁 콘텐츠 → 금융 상담 신청”

    • “취업 준비 피드 콘텐츠 → 교육 상담 신청”
      같은 간접적 유입 경로를 설계 가능.


5. 향후 전망


  • 네이버·카카오는 점점 더 콘텐츠 기반 광고 비중을 확대할 것.

  • AI 추천 시스템과 퍼스널라이징이 결합되면서, 개인 관심사 중심 광고가 표준이 될 전망.

  • 검색광고만으로는 더 이상 시장을 지배할 수 없고,


    피드·커머스·동영상 광고를 묶은 종합 전략이 필수가 될 것.


✅ 인사이트 정리



댓글

0

최해담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
데이터가 없습니다.
㈜에이엠피엠글로벌 | 대표. 김종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44, 현대테라타워 11층 (가산동)
사업자등록번호 257-81-03674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0-서울금천-2858호
광고문의 | 퍼포먼스1본부 02-6049-4642 | 퍼포먼스2본부 02-6049-4111 | 컨설팅본부 02-6049-4621
Email | sundam0405@ampm.co.kr
카카오 오픈채팅
Copyright ⓒ 2019-2025 AMPM Global. All rights reserved.
광고상담은 채팅으로 문의하세요.
몇 분 내 답변 받으실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