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잠재고객 캠페인에서 허수DB수 줄이는 방법

작성자 김지윤
작성일 2024.11.21
조회수 314

1. 타겟팅 정교화

허수 DB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타겟팅이 지나치게 넓거나 비효율적이라는 점입니다.

1.1. 정확한 타겟 설정

  • 고객 프로필 정의:
    • 나이, 성별, 위치, 관심사 등을 구체적으로 설정.
    • 예: "30-45세, 중소도시 거주, 쇼핑/가전제품 관심"
  • 행동 기반 타겟팅:
    • 특정 행동을 취한 사용자만 타겟팅(예: 웹사이트 방문, 특정 페이지 조회).
    • 예: 리타겟팅 캠페인으로 구매 의향이 있는 고객만 대상으로 설정.

1.2. 유사 타겟 그룹 활용 (Lookalike Audience)

  • 기존의 실제 고객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특성을 가진 사용자만 타겟팅.
  • Lookalike 설정 시, 1~3%의 좁은 범위를 설정해 고품질 잠재고객 확보.

2. 광고 콘텐츠 최적화

광고 내용이 모호하거나 지나치게 매력적인 제안을 하면 품질 낮은 리드를 끌어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2.1. 명확한 메시지 전달

  • 광고에서 제공하는 혜택과 조건을 명확히 전달.
    • 예: "신청 후 상담 진행", "무료 체험 이후 정기 구독 필요".
  • 광고에 진입 장벽을 적절히 설정하여 가벼운 클릭이나 허위 입력을 방지.

2.2. CTA(Call-to-Action) 설정

  • CTA 버튼을 "자세히 알아보기"처럼 간단한 표현 대신, 구체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메시지로 변경.
    • 예: "무료 상담 요청하기", "맞춤 견적 받기".

2.3. 광고 크리에이티브와 랜딩 페이지 일치

  • 광고와 랜딩 페이지에서 동일한 메시지를 전달해 의도치 않은 유입 차단.
    • 예: 광고에서 특정 서비스 가격을 언급했다면 랜딩 페이지에서도 가격을 명시.

3. 잠재 고객 필터링

허위 정보 입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집 과정에서 필터링 기법을 활용합니다.

3.1. 입력 폼 최적화

  • 필수 입력 항목 추가:
    •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외에도 상세한 정보를 요청.
    • 예: "희망 상담 시간", "관심 분야 선택".
  • 유효성 검사:
    • 이메일 형식, 전화번호 인증, 중복 입력 방지 기능 추가.

3.2. CAPTCHA 또는 인증 시스템 적용

  • 자동화된 허위 정보 입력 방지.
  • 전화번호 인증(예: SMS 인증)을 통해 유효한 DB만 수집.

4. 광고 집행 후 DB 품질 분석

4.1. DB 검증 시스템 도입

  • 수집된 DB를 확인해 부정확한 정보(예: 가짜 이메일, 유효하지 않은 전화번호)를 걸러냄.

4.2. 허수 DB 비율 측정

  • 캠페인별로 허수 DB 비율을 분석해 문제 발생 원인 파악.
    • 예: 특정 광고 그룹이 유독 허수 비율이 높다면 타겟팅을 변경.

5. 광고 예산과 테스트 최적화

5.1. 소규모 예산 테스트

  • 캠페인 시작 전에 소규모 예산으로 테스트 진행.
  • 테스트 결과를 기반으로 가장 효율적인 광고 조합에만 예산 집중.

5.2. 성과 기반 최적화

  • 전환율(Lead-to-Sale Rate)이 낮은 광고는 중단하고 효율 높은 캠페인에 예산을 재배분.
  • META 광고 관리 도구에서 제공하는 리드 품질 데이터를 활용해 개선 가능.


https://inside.ampm.co.kr/ae-wldbs1132/?baepo=wldbs1132

㈜에이엠피엠글로벌 | 대표. 김종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44, 현대테라타워 11층 (가산동)
사업자등록번호 257-81-03674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 2020-서울금천-2858호
광고문의 | 퍼포먼스1본부 02-6049-4642 | 퍼포먼스2본부 02-6049-4111 | 컨설팅본부 02-6049-4621
Email | wldbs1132@amp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