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VS 구글 자사 업종에 맞는 검색광고 플랫폼 어디가 좋을까?
안녕하세요?
검색광고를 집행하려고 보면 어느 플랫폼에서 집행해야 할지 고민되는 광고주분들 많으시죠?
네이버가 국내 시장에서 점유율이 압도적인 1위임에도 불구하고,
업종 특성이나 상황에 따라 구글 검색광고를 사용해야만 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네이버SA와 구글SA의 특징, 이어서 언제 어떨 때 각 플랫폼을 사용해야 하는지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이버SA VS 구글SA 각 플랫폼의 특징을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네이버 SA |
구글 SA |
노출 지면 |
검색광고 지면, 콘텐츠 지면 |
검색광고 지면, 콘텐츠 지면, UAC |
노출 형태 |
콘텐츠 기반 |
텍스트 기반 |
과금 방식 |
CPC |
CPC / CPA / CPI |
타겟팅 방식 |
연령, 성별, 지역, 시간, 세그먼트 |
연령, 성별, 지역, 시간 + URL, 유튜브 구독자 |
관리 방식 |
품질지수 관리 머신러닝 X 광고수정이 성과 영향 X |
최적화지수 관리 머신러닝 O 광고수정 성과 영향 O |
2.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 어떤 플랫폼에 검색광고를 진행해야 까요?
네이버 SA | 구글 SA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가 있을 때 | 정보성 콘텐츠를 보유중일 때 |
국내 소비자 타겟 | 해외 소비자 혹은 B2B 타겟 |
객단가가 낮은 경우 | 객단가가 높은 경우 |
가격 경쟁력이 있을 때 | 네이버 입찰가가 너무 높아 효율이 나오지 않을 경우 |
후기, 리뷰 다수 | 후기, 리뷰 적음 |
즉시성이 필요한 DB 업종 | 신뢰가 중요한 업종 |
정확한 상황이나 구체적인 업종, 광고 목적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한눈에 딱 들어오게 정리해 드렸지만 잘 이해가 가지 않으시는 부분도 있으실 텐데요,
구체적인 내용이 궁금하시거나, 전문적인 컨설팅이 필요하신 광고주분들께서는
아래의 연락처로 언제든지 연락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