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푸업종 ROAS 287% -> 431% 개선사례 [쇼핑검색광고]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마케터 양다빈입니다.
오늘은 지난 샴푸업종 S사의 쇼핑검색 광고 개선을 위한 문제점에 대해 다뤄보았고
문제점 개선후 이후 성과개선한 점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샴푸업종 'S'사 검색광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업체 정보]
업종 : 뷰티/미용 업종
광고 매체 : 네이버
월 예산 : 6,000,000원
KPI : ROAS 300% 이상
이관전 상황
월 예산 6,000,000원 정도로 쇼핑검색광고 기준 ROAS 244%의 데이터임을 확인했습니다.
노출량 대비 클릭률은 괜찮았지만 클릭 수 대비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ROAS가 개선이 되지않는 상황이었는데요
우선 ROAS (광고 수익률) 변화 먼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이관 전인 12월부터 시작하여 1월 중순 이관 후 현재 3월까지의 로아스 변화입니다.
< 이관 전 12월 >
< 1월 중순 이관 >
< 2월 >
< 이번달 3월 >
이렇게 제가 200%대에서 400%대까지 ROAS를 개선한 사례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말씀드린 문제점을 다시 정리해드리면,
1. 제외키워드 관리
2. 그룹관리
3. 한정적인 키워드 전환
우선 해당 문제점들 정리를 위해 다시 그룹을 분리하였습니다.
1. 제외키워드 관리
우선 제외 키워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환이 없는 키워드 제외를 모두 걸었으며,
2. 그룹관리
이전 메인키워드(대표키워드)에서만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위입찰을 진행하고 있는데 키워드 그룹을 따로 분리하지않아 세부키워드에서도
높은 입찰가로 설정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해당그룹 분리를 진행하였습니다 .
또한 이전 남녀 그룹별에 맞는 소재를 등록함으로써 클릭률을 높일 수 있었습니다 .
3. 한정적인 키워드 전환
지속적인 키워드 테스트 그룹을 통해 키워드 확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발굴해낸 키워드들에서 전환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추가로, 월별 보고서를 정리하여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지, 효율이 안나오는 그룹,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전체 지표> / <그룹별지표>/<연령별 나이대별 PC/모바일> 등의 보고서를 통해 인사이트를 뽑고 이를 적용하며, 광고주에게 보고서 전달 드리면서 부족한 부분을 같이 상의하며 제안드리면서 광고 효율을 세부적으로 잡아가고 있습니다.
광고주님과의 커뮤니케이션 또한 자주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광고비 증액 및 매체확장 진행중입니다.
광고 셋팅 개선사례 관련해서는 세세하게 분석 후 진행이 가능한데요
계정 세팅에 있어서 어려우신점이나, 검색광고 전략, 꿀팁 등에 대해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문의주시면 상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양다빈 마케터였습니다.
전화: 02-6049-4452 / 메일: davi23@ampm.co.kr
양다빈 마케터 소개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