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KPI 설정
안녕하세요 AMPM 글로벌 1:1 밀착형마케터박현지 입니다.
우리의 목표는 ROAS를 극대화하면서 한 명이라도 많은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수명주기)’를 ‘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 네 단계로 나누고,
시기별로 핵심이 되는 KPI와 보조 지표를 우선순위에 따라 나누어 설정하였습니다
# 도입기
키워드 타겟팅으로 1명의 소비자를 얼마나 낮은 단가로 모객 하였는지 CPM 달성에 집중하여,
이후에는 노출된 소비자들 중 실질적인 유입과 도달이 되었는지에 대한 전환율을 살피고 집중적으로 데이터 수집해야 합니다.
#성장기
모수를 끌어들인 1~2달 전후를 뜻합니다.
이 시기에는 낮은 단가로 구매의사가 있는 소비자들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CPC를 확인해보며,
얼마나 많은 소비자들이 자사를 자주 찾고, 머무르는지 확인할 수 있는
월간 검색량과 방문당 평균 체류 시간을 확인하며 지표 달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또한, 도입기에 활용했던 모수들을 대상으로 리타겟팅 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적극 추진하여 제품의 구매전환을 높이는데 초점을 둡니다.
#성숙기
일련의 과정을 거치며 폭발적인 신규 고객을 확보하기 어려운 시기입니다.
제품의 미디어 믹스 전략을 변경하며, 새로운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유통 채널 매체를 뚫음으로써 노출을 확대해야 합니다.
또한, 확보한 유저들의 수익성 극대화가 중요하기에 ROAS와 CPA 달성을 최우선으로 해야 합니다.
#쇠퇴기
판매량이 감소하는 쇠퇴기에는 이익이 적은 유통 경로는 폐쇄하고 촉진활동은 최소한으로 해야 하며,
때에 따라서 경쟁력이 없는 제품은 철수를 결정하거나 새로운 제품군을 도입해
다시 제품 리사이클을 돌리는 시기로 전략을 재구성해야 합니다.
추가적인 저의 글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URL을 클릭해주세요!
<최신 인기 게시글>
<함께 보면 유용한 시리즈 모음>
오늘도 저의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