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기본 설정 - 계정/속성/보기
안녕하세요.
최서진 마케터 입니다 :)
오늘은 조금 어려운 주제인
데이터 분석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바로바로
구글 애널리틱스 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데이터 분석이 아주 중요한 시기에 많은 관심을 얻고 있는 로그분석 툴이지만
여타 로그분석 툴들에 비해 사용 방법이 어려워 좌절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기본 제공 템플릿을 기반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분석 툴에 비해
매우 낣은 사용 범위와 강력한 커스터마이징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이에 대한 전문 지식이 필요함은 물론, 설정 과정 자체가 불친절하기 짝이 없기 때문입니다 ㅜㅜ
오죽하면 구글 애널리틱스 자격증 - 'GAIQ'라는 것까지 생겨났을까요.
처음 구글 에널리틱스(=GA)를 배울 때부터 어느 정도 익숙해진 지금에 이르기까지
저도 인고의 시간을 거쳤습니다..ㅜㅜ
구글 애널리틱스 고객센터의 설명은 고급 용어와 난해한 표현, 중의문 등이 많아 참고하기가 어려웠고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명료한 가이드가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준비해보았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따라 하기 시리즈.
개념보다는 사용법들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1. 구글 애널리틱스의 구조
GA는 3개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계정/속성/보기는 각각 별도의 설정 옵션을 가지고 있으며
권한도 제각기 설정해줘야 합니다.
간, '계정' ~ '보가'까지는 모두 상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계정에 권한을 부여한 아이디(Gmail)는 '보기'에도 동일한 권한을 갖습니다.
운용하고자 하는 계정/속성/보기의 개수는 기본적으로 아래에 입각하여 결정하시면 됩니다.
- - 계정 -> 사업자 단위: 기업이름
- - 속성 -> 도메인 단위: 000.comㅡ /ㅡm.000.com...
- - 보기 -> 보고서 단위: 모바일 기기만, 데스크톱 기기만, 테스트 보기, 브랜드 키워드 제외 보기
* 도메인? .com / co.kr / net 까지의 URL 주소
속성과 보기를 나누는 이유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알아보겠습니다.
2. 계정
아래 그림과 같이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계정 설정] -계정 이름: 사업자(업체) 입력, EX) --기업
[계정 설정] - 업체 소재 국가: 대한민국
[계정 설정] - 데이터 공유 설정: 모두 체크
3. 속성
속성 설정은 조금 많은데요.
[속성 설정] - 석상 이름: 속성에 사용 중인 도메인
[속성 설정] - 기본 URL: 속성에 사용 중인 도메인
[속성 설정] - 기본 보기: 아묵나 선택
[속성 설정] - 업종 카테고리: 업체 카테고리 선택, 마땅한 카테고리가 없는 경우 "기타"로 선택해도 무방
[속성 설정] - 고급 설정(... 수동 태그 추가를 자동 태그 추가보다 우선 적용): 체크 해제
[속성 설정] - 인구통계 및 관심분야 보고서 사용: 설정
[속성 설정] -향상된 링크 기여 분석 사용: 설정
[속성 설정] - 인페이지 애널리티스를 시작할 카테고리: 삽입 모드
[속성 설정] - 보고서에서 사용자 측정항목 사용: 설정
[추적 정보] - 데이터 수집- 상단 파란색 'Google 신호 데이터 활성화...': 시작하기 클릭하여 활성화
[추적 정보] - Google 신호 데이터를 위한 데이터 수집: 설정
[추적 정보] - 추천 제외 목록: 속성에 사용 중인 도메인
4. 보기
!! 우리가 조회하는 보고서는 모두 '보기'에 누적된 데이터입니다.
누적된 데이터는 이후 변경한 설정에 대하여 소급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설정 작업 이전 '보기 만들기' 또는 '보기 복사'를 통해 원본 데이터를 백업해놓으세요.
[보기 설정] - 보기 이름: 자유롭게 설정
[보기 설정] - 웹사이트 URL: 도메인 또는, 보기가 특정 페이지만 포함하게 설정한 경우 페이지 URL 가입
[보기 설정] - 기본 페이지: 메인 홈페이지의 URL이 여러 개인 경우, URL를 입력
[보기 설정] -표시 통화: 대한민국 원(KRW)
[보기 설정] - 봇 필터링: 체크
[보기 설정] - 사이트 검색 추적: 설정
[보기 설정] - 검색어 매개변수: q,k,query,keyword 등 각 사이트에 매개변수 입력, 사이트 내 검색창이 없다면 검색추적 '해제'
예시로 운동화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검색창에 "구글 애널리틱스"를 검색한 경우 위와 같은 URL이 구성되며
URL 내에서 "=구글애널리틱스" 직전의 단어가 검색어 매개변수입니다.
* 매개변수가 어디까지인지 햇갈린다면, URL 내에서 앰퍼센드(&) 또는 물음표(?) 앞까지 끊어주시면 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 글만 보고 이해하기 힘드신 부분이 많을텐데
추가적인 질문이라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저 최서진 마케터를 찾아주세요!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