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GDN에서 추천하는 전략 3가지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장연우입니다.
제가 오늘 소개할 주제는[구글 GDN]입니다.
먼저 구글의 메인지면을 보면,
광고노출이 없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구글은 전세계 웹사이트와 광고계약을 하여,
해당 사이트들의 게재지면에서
광고가 노출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광고가 노출되는 만큼,
광고크레딧 또한 굉장히 많이 사용할 수도 있겠죠?
해당 크래딧을 통제하는 방법은
하단에 언급하겠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많은
게재지면이 있는 구글 GDN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
세 가지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1. 클릭당 비용 상한선은 얼마가 적절할까요?
먼저 새 캠페인을 만들기 전에
다들 해당 광고로 집행하면서
원하는 값들이 존재할텐데요.
그 값들의 대부분을 위해선
클릭수 최대화를 '클릭당비용 상한선 취소'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저희가 구글 GDN을 이용하는 이유는
앞서 말한 것처럼 많은 이용자들을 활용하기 위해서이기에
많은 이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해보기 위해선,
처음엔 상한선을 취소해보고
해당 금액이 부담스러울 시 전환수를 보고
줄여나가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2. 반응형 디스플레이 광고 활용
게재지면이 다양한만큼,
크기도 다양할텐데요.
반응형 디스플레이 광고는
1:1, 1.91:1, 업체로고만 있으면 각각 화면에
맞는 사이즈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위치됩니다.
사이즈별로 디스플레이를
만들면 더 좋겠지만, 해당 시간들을
다른 곳에 활용하고,
해당 기능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3. 타겟팅과 리타겟팅
각각의 주제로 광고그룹을 세팅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광고비용이 부담스러울 시
키워드+주제+게재위치를 한번에 묶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를 나누어서 해당 타겟팅의 전환이
어디서 일어났는지 보고,
리타겟팅을 진행해야 하기때문에,
그룹을 나누는 것이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외에도 '광고효력'란을 무시하지 말고 잘 챙기며
보다 좋은 효과좋은 광고 만드시길 바랍니다.
그럼 지금까지 AMPM글로벌의
광고퍼포먼스 4팀 장연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