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률 상승! 네이버 GFA 카탈로그형 캠페인 알려드릴게요!

유재선 마케터
2025-08-21
조회수 : 34
댓글 0
GFA의 카탈로그 캠페인이란
GFA(네이버 디스플레이 광고 플랫폼) 안에서 제공되는 캠페인 유형 중 하나로, 광고주의 상품 카탈로그를
불러와서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에 노출하는 방식입니다.
거기에 더불어 리타겟팅 형식으로 광고가 노출되기 때문에 신규 유입이 아닌 전환 증대에 초점이 맞춰진 캠페인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위와 같이 여러 개의 상품이 카탈로그 형식으로 노출이 됩니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디스플레이 광고는 예쁘게 만든 배너 한 장을 밀어붙이는 방식이었죠.
하지만 카탈로그 광고는 다릅니다.
l GFA의 카탈로그 캠페인의 주요특징
1.
개인화 광고
- 고객이 이미 관심을 보인 상품이 광고로 재노출됩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클릭률, 전환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됩니다.
- 예: 내가 최근에 운동화를 봤다면, 운동화
중심으로 광고가 뜸.
2.
운영의 효율성과 확장성
- 광고주가 등록한 카탈로그(최대 5만 개 상품)에서 자동으로 이미지·상품명·가격
등을 끌어와 광고 소재를 생성합니다. 이로인해 광고 소재 제작 부담이 줄어듭니다.
- 학습을 할수록 AI가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을 스스로 찾아내어 효율이 높아집니다.
- 결국 브랜드 입장에서는 운영 리소스를 최소화하면서도 퍼포먼스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3.
광고 생태계 속에서의 의미
- 카탈로그 광고는 콘텐츠 자체를 상품화시키고, 네이버는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타이밍과 타겟팅을 책임집니다.
- 이 구조가 의미하는 건, 앞으로 광고주의 역할은 상품 데이터 관리와 브랜드 전략 설계에
더 집중될 것이고, 세부 타게팅과 소재 최적화는 플랫폼의 AI가
맡게 된다는 점입니다.
l 운영 팁
- 전체 상품 ON: 특정 인기상품만 켜두기보다는 전체 상품 노출을 켜두는 게 효율적입니다.
- 충분한 학습기간: 최소 2주 이상 집행 → AI가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을 제대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 주력 상품군 vs 트래픽 유입용 상품군을 그룹핑해서 관리하면 효율 극대화하거나,
이탈 전환율이 높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타겟 세그먼트를 분리하여 퍼포먼스에 집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비슷한 이미지
주의: 유사 이미지가 많으면 대표 상품 하나만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성과 지표: 클릭률(CTR), 구매전환율,
ROAS 중심으로 모니터링. 실제로 ROAS 500% 이상
케이스도 있습니다.
이러한 인사이트와 함께 성공스토리를 쓰고 싶으시거나 궁금한 점 있으시면 편하게 연락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MPM GLOBAL 광고퍼포먼스 2본부 1팀 유재선 AE
댓글
0
유재선 마케터의 인사이트 전체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