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광고 운영방법? 이 게시물 하나면 충분합니다
안녕하세요
광고퍼포먼스 2본부 1팀 김가경 AE입니다
다가오는 봄! 이제 여러 브랜드에서 봄프로모션 광고를 계획 중이시거나 운영 중이실텐데요
이번 인사이트는 현재 제가 운영 중인 META 건기식 업종의 브랜드에서 실제로 프로모션 당시에
적용했던 세팅 경험들을 기반으로 궁금하실 법한 사항들을 정리했습니다
Q1. 프로모션 진행 예정인데, 어떤 캠페인으로 운영하는게 좋을까요?
A1. 메타에는 정말 다양한 캠페인이 있는데요, 이 중에서 [봄프로모션]을 진행한다면 어떤 캠페인 사용이 적절할까요?
정답은, 해당 캠페인을 통해서 어떤 목적을 달성할 것인가에 따라 캠페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많은 구매 자체가 이번 프로모션의 KPI이라면, 판매 캠페인으로 !
회원가입자 수 증대나 친구추가가 이번 프로모션의 KPI라면, 트래픽 캠페인으로!
이처럼 프로모션의 KPI에 맞춰서+명확한 목표에 기반되어 캠페인을 설정한다면, 좋은 시너지가 나겠죠
Q2. 그럼 본격적인 세팅은 어떻게 하나요?
A2. 여기서도 캠페인의 목적을 잘 구분하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소재 자체를 테스트를 해보고 싶은거라면, 트래픽 캠페인을 세팅 후 캠페인 예산으로 설정합니다.
메타는 결국 머신러닝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매체다 보니, 고효율 소재가 발굴이 되면 해당 소재로 집중됩니다.
따라서 캠페인 단위에서 예산을 걸고, 어떤 소재에 효율이 집중되는지 확인해보세요
여기서 고효율 소재가 발굴되었다? 그러면 이제 해당 소재를 기준으로 베리에이션을 진행합니다. 디자인의 틀은 비슷하게 유지하되 문구를 바꿔가면서 a/b테스트를 진행해도 좋고요
두번째, 타깃을 테스트해보고 싶다!면 전환캠페인을 활용해보세요. 결국 이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은 사람들을 찾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단순 광범위한 노출을 이용하는 트래픽보다는 전환캠페인이 더 적절하겠죠
또한 메타의 가장 큰 장점은 상세한 타깃팅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상세타깃팅 내에서 관심사 테스트를 진행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제가 이번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효율을 봤던 관심사 한 가지를 공유해드리자면... 프로모션 기간 동안에는 [1+1 마케팅] 관심사가 유독 효율이 좋았습니다.
이 외에도 정말 많은 관심사가 있기 때문에 세팅 시 한번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Q3. 세팅 후에 효율은 어떤 기준으로 필터링 해야할까요?
A3. 캠페인에 따라서 다릅니다.
트래픽 캠페인이고, 소재테스트 목적으로 만들어진 캠페인이라면, 저는 CTR/CPC가 소재 필터링의 기준이 되겠네요.
반면 판매 캠페인이고, 타깃 테스트 목적으로 만들어진 캠페인이라면, 전환수/CVR/ROAS가 필터링 기준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