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 없는 유입'이 많은 캠페인의 공통점
1. 의도 없는 유입이란 무엇인가
의도 없는 유입이란 전환 가능성이 낮은, 즉 관심도나 구매 의사가 불분명한 사용자의 유입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랜딩에 머무르지 않고 이탈하거나, 상담 연결률이 극단적으로 낮은 리드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2. 의도 없는 유입이 많은 캠페인의 특징
가장 큰 공통점은 타겟과 메시지의 불일치입니다. 예를 들어 '전 연령 여성'을 타겟으로 잡고, 실제로는 10대에게 적합한 문구나 이미지를 사용하면 관심 없는 유입이 유입량을 왜곡시킵니다. 또 하나의 특징은 '낮은 유입비용'에만 집중한 매체 선택입니다. 예산은 줄지만, 리드 질도 함께 낮아집니다.
3. 캠페인별 대표 사례 비교
-
SNS 콘텐츠형 광고: 좋아요 수는 많지만 리드 연결률은 낮은 경우
-
디스플레이 중심 타겟팅: 관심사는 맞지만 구매의도까지 연결되지 않는 경우
-
성별/연령 세분화 실패: 메시지는 정확한데, 실제 타겟과 동떨어진 집단이 유입되는 경우
4. 유입 후 전환율로 진짜 의도를 확인하라
클릭률(CTR)과 전환율(CVR)은 다릅니다. 유입수에 비해 전환율이 떨어진다면 ‘의도 불일치 유입’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GDN이나 SNS 중심 유입에서는 리드 수가 늘어도 상담 전환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명확히 나타납니다.
5. 해결 전략: 메시지 정밀화와 리타겟팅 강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캠페인 메시지를 타겟 특성과 1:1 매칭시키는 것입니다. ‘누구에게 어떤 말을 할 것인가’를 명확히 정의해야 하고, 이후 리타겟팅을 통해 실제 반응한 사용자만 따로 모아 관리해야 전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유입량에만 집중한 광고는 결과적으로 '성과 착시'를 불러옵니다. 진짜 유의미한 유입은 '의도 있는 클릭'에서만 나옵니다. 유입 이후 전환율을 꾸준히 체크하며, 타겟과 메시지를 끊임없이 정렬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