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무? 알리익스프레스?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
안녕하세요! 권소영 AE입니다.
오늘은 제목에서 보셨듯이 테무와 알리익스프레스를 중심으로 이커머스 시장에 대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테무? 알리익스프레스?
이게 뭔가 싶으신 분들도 계실 거고 이미 이용 중이신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알리익스프레스를 시작으로 중국 거대 이커머스 시장이 한국에 진출을 했습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중국 거대 인터넷 그룹인 알리 그룹의 B2C 전문 사이트로 저렴하고 많은 상품량에 이용자 또한 많습니다.
출처: 뉴시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 3월 한국 시장에 향후 3년 간 약 11억 달러(약 1조 4,400억 원)를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안에 약 5만 평 이상의 초대형 통합 물류 센터를 짓고 한국 셀러의 글로벌 지원도 1억 달러 가량 사용할 예정이라 합니다.
저렴한 가격과 물량으로 알리는 국내에서 넓은 폭의 성장세를 이뤘고, 올해 2월 기준 순수 이용자 수는 약 818만 명이라고 합니다.
해당 수치는 국내 이커머스 업체 중 쿠팡 다음의 수치로 국내 이커머스 시장이 흔들렸습니다.
또한 테무는 알리익스프레스 다음으로 국내에 진출한 중국 온라인 플랫폼으로 알리익스프레스와 동일하게 저렴한 상품을 대량으로 판매하여 인기가 좋습니다.
테무는 작년 7월 국내에 진출해 이용자가 830만 명에 이르렀으며 매달 급증하고 있는 추세를 보입니다.
테무는 국내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쇼핑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미국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어 아마존을 위협할 정도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그렇다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은 국내에서 어떤 마케팅 전략을 펼치고 있을까요?
1. 거대한 마케팅 자본 예산 & 공격적 광고
테무의 모기업 핀둬둬는 2023년 기준 매출이 약 45조 8,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9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약 10조 9,400억 원으로 전년대비 약 93% 증가했습니다.
또한 테무의 작년 총 마케팅 비용은 5조 원을 초과해 광고와 마케팅 비용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자본이 많아 투자 또한 많이 이뤄져 마케팅 효과가 두드러지는 것입니다.
현재 테무는 국내 인기 드라마에 PPL를 진행해 홍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출처: 연합뉴스
알리 광고는 오다 가다 한 번쯤은 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모델 마동석을 주축으로 노출이 쉬운 지하철 옥외광고, 유튜브 광고 등을 내세워 이미지가 잘 맞는다는 등의 호평을 받으며 시너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또한 반복적이고 공격적인 광고 메일과 네트워크 배너 등을 통한 광고 전략을 갖고 있습니다.
2. 초저가 전략
알리 익스프레스는 저렴한 가격에 특화되어 있는데요.
긴 배송 기간과 배송비를 감안하더라도 저렴한 가격에 매력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특히 테무는 초저가 입찰 제도를 하고 있어 판매자 간 입찰을 통해 제품 가격을 경쟁적으로 낮추게 되어,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의 상품을 제공합니다.
또한 고객 불만이 이어질 경우 테무는 판매자에게 벌금을 부과하며 고객 만족 향상에 대해서도 신경을 쓰고 있습니다.
3. K맞춤형 서비스
알리는 작년 10월 K-베뉴를 열어 국내 사용자들을 확보하고자 했습니다.
K베뉴(K-Venue)는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제품이 아닌 한국 제품을 알리익스프레스에서 구매할 수 있도록 한국 소비자 특화 코너입니다.
K베뉴는 국내 배송이 가능하고 한국 제품을 비슷하거나 조금 더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K맞춤형 서비스를 도입해 전략적으로 한국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넓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은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할까요?
국내 시장의 향후 방향에 대해 설명을 조금 덧붙히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알리는 저렴한 반면, 해외배송이라는 단점이 있어 배송이 최대 4주까지 소요된다는 점에서 한국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한계를 보였는데요.
올해 초대형 물류 센터가 지어지고 투자가 더욱 활발히 이뤄진다면 해당 문제점은 해결되어 국내 점유율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공통으로 가지고 있었던 저품질 상품, 가품, 불량품, 불편한 CS 센터 등의 문제는 긍정적인 이용자 후기와 국내 서비스 확장을 통해 점차 해소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이렇듯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이나 업체들에게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위기를 기회로 극복해 '고품질 상품 전략' 혹은 '브랜딩 전략'을 통해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과 시그니처 제품 개발 등에 더욱 집중해 광고 방향을 설정한다면 현재 이커머스 시장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오늘은 알리익스프레스의 국내 물류창고 설립 마케팅 이슈를 주축으로 국내 이커머스 시장에 대해 설명을 해봤는데요.
앞으로 국내외 온라인 쇼핑 플랫폼과 업체들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다음에도 유익한 마케팅 이슈로 찾아올게요.\
광고 퍼포먼스 1팀 권소영AE입니다.
감사합니다!
--------------------------------------------------------------------------------------------------
↓ 권소영AE의 다른 인사이트가 궁금하다면 ↓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6400&ae=ksymm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6381&ae=ksymm
https://inside.ampm.co.kr/bbs/board.php?bo_table=insight&wr_id=6166&ae=ksy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