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광고 효율관리의 모든 것

작성자 김태민
작성일 2023.10.20
조회수 541

1. 검색 광고의 목적은 구매 유도에 있습니다.

소비자의 구매 행동은 타이밍이 맞아야 일어나므로 이를 위해서는 5A, 욕구, 필요, 수요의 개념을 알고있어야 합니다.

5A는 고객 구매 여정으로 인지(Aware)-호감(Appeal)-질문(Ask)-행동(Act)-옹호(Advocate)이며

욕구는 있어야 할 것이 없어지거나 모자라는 상태, 필요는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 수요는 필요에 구매력까지 더한 개념을 뜻합니다.

'배고파(=욕구) - 고기(=필요) - 소고기(=수요)' 정도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보통 5A의 개념 중 인지와 호감 단계는 충동 구매 플랫폼에서 일어난다고 생각하는데, 위의 과정은 목적 구매 플랫폼에서도 똑같이 일어납니다.



구매 전환이 쉽게 일어나는 순으로 1순위는 구매력이 반영된 수요 키워드, 2순위는 필요 키워드, 3순위는 욕구 키워드인데요!


사용자의 검색 패턴을 다듬어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이 자동완성어, 연관검색어 이므로 이를 키워드에 반영하면 조금 더 쉽게 키워드를 선별할 수 있습니다.


선별 이후 키워드 별 유효성 체크를 해야합니다.


유효성 체크란? 실제로 사용자들이 해당 키워드를 사용하는가, 사용한다면 사용 빈도는 어떠한가에 대한 것으로 네이버 광고센터 내에 월간 검색 수를 통해 확인한 후 광고를 준비하면 좋습니다.



5.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브랜드의 상황까지 생각해서 광고에 반영하라.

네이버 플랫폼 내 모바일을 기준으로 검색 시 광고 노출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네이버 파워링크의 경우 3등 내 위치

네이버 쇼핑검색의 경우 3등 내 위치

만약 3등 내에서 광고 활동을 하는데 광고 기준에 부합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게 아닌 경우 3등 이외의 클릭을 하는 사용자는 어떤 행동을 할까를 고민해야합니다.

쇼핑 검색의 경우 사용자 입장에서 스크롤을 내리느냐, 옆으로 넘기느냐의 차이이므로 3등과 4,5등의 접근성이 같을 수 있습니다.

노출 순위 뿐만 아니라 노출 지면도 중요합니다. 그러니 같은 비용을 지불한다면 최대한 많은 영역을 차지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합니다 !!


댓글

0

전화문의
02-6049-1182
평일 09시~18시(점심시간 12시~13시)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Copyright ⓒ 2019-2025 AMPM 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