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보다 추천! 지금 광고 전략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광고퍼포먼스2팀 김태완 마케터입니다.
광고를 운영하다 보면 이런 질문을 자주 듣습니다.
"예전엔 키워드 광고만 돌려도 매출이 나왔는데, 요즘은 왜 안 되죠?"
"검색광고 클릭은 나오는데, 전환이 너무 안 돼요..."
이러한 이유는 단순히 '광고가 약해졌다' 가 아닙니다.
소비자 행동 자체가 완전히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핵심 키워드는 바로 *알고리즘* 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사람들은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직접 검색했습니다.
"ㅇㅇ추천", "ㅇㅇ후기", "어떤 게 좋을까?" 같은 키워드가 주 구매 유입 경로였죠.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예전 소비 흐름 |
요즘 소비 흐름 |
검색 - 클릭 - 비교 - 구매 |
인스타/틱톡 - 추천 콘텐츠 시청 - 궁금해서 검색 - 구매 |
즉, 검색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의도는 알고리즘이 만든다' 는 게 핵심입니다.
이러한 알고리즘이 만든 3가지 소비 변화
1. 검색보다 '발견' 중심의 구매
소비자가 검색하기 전에 이미 보고 있다.
틱톡, 릴스, 유튜브 쇼츠 등에서 콘텐츠를 접하고 나서 구매를 결심
Ex) "틱톡에서 봤는데 이거 좋대" -> 브랜드 이름도 모른 채 제품 검색
2. 브랜드보다 '상황 공감' 콘텐츠가 먼저
기존 : 브랜드 강조, USP중심 광고
현재 : 내 상황을 먼저 이해해주는 콘텐츠가 클릭을 유도함
Ex) "피부 뒤집어졌을 때 쓸 수 있는 로션" vs "민감성 피부 전문 로션"
3. 광고 클릭보다 콘텐츠 시청이 전환에 영향
소비자는 '광고'보다 '리뷰 콘텐츠'를 더 신뢰함
유튜브/틱톡 콘텐츠를 본 뒤 브랜드 검색 -> 구매 유입으로 이어짐
이런 알고리즘 중심 소비 흐름에선 기존 광고 전략을 조금 바꿔야 합니다.
1. 검색광고만으론 부족합니다.
유입 자체는 SNS, 블로그, 유튜브 등 콘텐츠 알고리즘에서 시작 됩니다.
2. 쇼츠/릴스 콘텐츠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브랜드 소개보다 "사용 상황"을 짧고 임팩트 있게 보여주는 영상 필요
3. 발견형 광고를 활용해야 합니다.
메타, 카카오, 유튜브 광고 등은 알고리즘 기반 소비 패턴에 더 잘 맞음
*마무리 요약*
요즘 소비자는 "필요해서 검색" 하는 게 아니라,
"보여서 궁금해져서 검색"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걸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알고리즘 기반 콘텐츠이고,
여기에 맞춘 광고와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때입니다.
광고 예산을 쓰기 전에,
"소비자가 먼저 보고 싶어 할 콘텐츠인가?"
"추천 알고리즘에 걸릴 수 있는 콘텐츠인가?"
이 질문에 빗대어 시작해보면 됩니다.
전환은 검색에서 일어나지만
결정은 추천에서 시작됩니다.
지금까지 김태완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