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네이버 검색광고 매체별 운영 전략 통합 정리 (2025 최신판)
내 광고는 어느 매체에서 더 효과적인지 비교 활용 해보시길 바랍니다.
우선 네이버 검색광고 구글 검색광고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여기서
UAC란?
구글에서 앱 설치나 앱 내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검색, 유튜브, 디스플레이 네트워크 등에
자동 최적화되어 송출되는 통합형 앱 광고입니다
다들 스마트폰을 사용하신다면, 앱스토어나 플레이 스토어에서
상단의 광고를 보신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게 바로 UAC입니다.
다음으로는
구글
검색광고와 네이버 검색광고의 강점을 비교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구글
검색광고는 보통 정보 탐색을 위하여 유입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뢰성을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문의를 받는 DB업종에
좀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광고는 구매 목적을 가지고 가격 비교를 하기 위해 들어오는 사람이
구글에
비해 많기 때문에 EC업종에 더 특화 되어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매체별 검색광고 운영 전략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구글 검색광고 운영 전략
- * 초기 세팅
- - 캠페인 목표 명확히 설정 (리드 수집/구매전환/인지도 확산)
- - 키워드 매칭 옵션을 다양하게 활용 (확장 / 구문 / 정확 매칭)
- - 광고 확장 기능(사이트링크, 콜아웃, 구조화 스니펫) 적극 활용
- *입찰 및 최적화
- - 스마트 자동입찰(목표 CPA, ROAS 최적화) 적용
- - 학습 기간 고려하여 충분한 데이터 확보
- - 고성과 키워드 중심으로 예산 최적 분배
- *성과 극대화
- - 리드/문의 중심 KPI 설정
- - 검색 리타겟팅+디스플레이 리마케팅+유튜브
리마케팅 연계
- - 광고문구 및 랜딩페이지 A/B 테스트 지속 운영
- *활용 포인트
- 정보탐색형 검색이 많아→ 교육, 병원, 금융, IT 솔루션 등 DB업종에 최적화
네이버 검색광고 운영 전략
- * 초기 세팅
- - 구매 목적 키워드(상품명, 브랜드명) 중심
키워드 셋팅
- - 성별, 연령, 지역, 디바이스
타겟팅 세밀하게 적용
- - 입찰가 조정(경쟁 키워드 최소 상위 3위 확보 목표)
- *입찰 및 최적화
- - 스마트 자동입찰(전환수 최적화/ROAS 최적화) 적극 적용
- - CPC 수동 조정으로 고성과 키워드 효율 관리
- *성과 극대화
- - 쇼핑검색광고, 콘텐츠검색광고 병행 집행
- - 검색 리타겟팅, 관심사 타겟팅 확장 전략 활용
- - 구매 전환 KPI 명확히 설정하여 운영
- *활용 포인트
- 구매목적형 검색이 많아 → 쇼핑몰, 뷰티, 패션, 가전제품 등 EC업종에 최적화
여기서
팁!! 김소미 마케터가 추천하는 운영전략 요약!
- 구글 검색광고는"글로벌 확장성 + 정보탐색 기반 DB업종에 강하다."
- 네이버 검색광고는"국내 최강 검색량 + 구매목적형 EC업종에 강하다."
따라서 "내 업종, 목표, 예산"에 맞춰 매체를 선택하거나,
병행 집행하여 운영하는 것이 핵심 전략입니다.
여기까지 구글과 네이버 매체의 활용점을 알아보았는데요.
더 궁금하신 내용이나, 컨설팅 문의를 받고 싶은 분들은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 남겨주세요. 언제든 답변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