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전문몰 협력광고 선택, 결제추정금액과 주 고객 연령층을 확인하세요.

작성자 이정택
작성일 2025.05.23
조회수 45
온라인 전문몰 협렵광고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전문몰 별 순 결제추정금액과 주 고객 연령층을 비교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온라인 전문몰 별 순 결제추정금액 순위와 주 고객 연령층 그리고 평균 광고 노출당 비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492153116_1182800440524207_4113356847089816526_n.jpg

시사점

  • 광고 효율 우선순위: 컬리, 무신사, 크림, 오늘의집은 결제 전환율이 높은 채널로 판단되어 ROAS 중심 광고 집행에 유리.

  • 패션앱 광고 전략: 지그재그/에이블리는 도달보다는 전환 중심의 UX개선 및 가격 전략 보완 필요.

  • 콘텐츠커머스 연계 강화: 오늘의집/무신사처럼 커뮤니티+쇼핑 연계 전략이 결제 확대에 효과적임을 시사.



image.png



핵심 연령대 주요 인사이트
컬리 (식료품) 30대(29.2%), 40대(28.9%), 50대(22.5%) 구매력 있는 기혼 여성 중심, 안정성과 품질 강조 필요
무신사/29CM (패션) 20대(41.3%), 30대(30.4%) MZ세대 중심의 스트릿/트렌디 패션 타겟, 비주얼 중심 마케팅 유효
크림 (패션 리셀) 20대(43.0%), 30대(36.8%) 하이엔드+리셀 수요 높은 젊은 남성 타겟에 집중
오늘의집 (인테리어) 30대(43.1%), 40대(24.6%) 집 꾸미기, 혼수 수요층 중심, 커뮤니티 마케팅 적합
올리브영 (뷰티) 20대(28.7%), 30대(28.4%), 40대(25.6%) 넓은 세대 타겟 → 연령 맞춤형 콘텐츠 추천 유효
에이블리 (패션) 20대(37.7%), 30대(28.7%) 여성 20~30대 집중, SNS + 스타일링 콘텐츠 광고 최적
지그재그 (패션) 20대(55.4%) Z세대 여성 독점 구조, 쇼츠/틱톡 등 숏폼 광고 효과 극대
퀸잇 (패션) 50대(49.8%), 60대 이상(27.5%) 중장년 여성 맞춤 플랫폼, 고신뢰+실용성 중심 마케팅 전략 필요
아이디어스 (인테리어/핸드메이드) 40대(29.2%), 50대(29.2%), 60대 이상(8.3%) 취향 기반 큐레이션 플랫폼, 감성 + 스토리텔링 콘텐츠 적합



주요 온라인 전문몰 광고 평균 광고 노출당 비용 (CPM 기준)

1. 컬리

  • 옥외 광고 CPM:
    옥외 광고의 CPM은 광고 위치, 타겟팅, 광고 기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000명 노출당 비용은 11,248원 정도입니다.
  • 온라인 광고 CPM:
    온라인 광고의 CPM은 2018년 자료 기준으로 1,000명 노출당 비용이 500~1,000원 수준입니다. 하지만, 2022년 Facebook 기준 평균 CPM은 $7.19(약 9,0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컬리의 경우, 새벽배송, 식품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1,000명 노출당 비용이 1,500원~3,000원 정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추정치이며, 실제 CPM은 광고 매체, 타겟팅 방식, 광고 효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올리브영

올리브영 광고의 평균 CPM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메타 광고의 경우 1000회 노출당 약 3.6달러 (약 4,800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리브영 협력 광고의 경우, 지난 4월부터 운영 시 평균 CPM이 1500원이었다는 사례도 있으며, 5월 8일부터 신규 광고 세트의 CPM이 300원으로 하락했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3. 에이블리

에이블리의 평균 CPM은 특정 상황이나 광고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1000회 노출당 500원부터 2000원까지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CPM은 광고 노출당 비용으로, 에이블리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주가 설정한 예산과 경쟁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평균 CPM은 일반적인 추정치이며, 실제 CPM은 광고 매체, 타겟팅 방식, 광고 효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강조드립니다.

광고 CPM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해야 합니다
  • 캠페인 목표:
    상품 판매, 브랜드 인지도 상승 등 캠페인 목표에 따라 CPM이 달라집니다.
  • 타겟팅:
    타겟 고객층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연령대나 성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광고 소재:
    광고의 내용과 형식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광고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가 더 높은 CPM을 가질 수 있습니다.
  • 경쟁 상황:
    광고 시장의 경쟁 상황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경우,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광고 플랫폼:
    브랜드가 주로 사용하는 광고 플랫폼(예: 구글 광고, 페이스북 광고 등)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랜의 광고 CPM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위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협력광고 진행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지표와 자료와 함께 알아 보았습니다.
협력광고는 유용한 광고 수단 중 하나이지만 자사 브랜드의 특성과 진행하려고 하는 협력광고 플렛폼의 특성을 고려하며
두 브랜드의 특성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따라서 자사의 브랜드가 협력광고를 진행 했을 때 좋은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는가는
협력광고 매체사 선택과 그 후의 전략적 운영 방안이 핵심 요소입니다.
추가적으로 협력광고에 대해 궁금하신 광고주님들은 개인적인 문의 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AMPM GLOBAL 퍼포먼스 마케터 이정택 AE 였습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GAIQ구글애널리틱스SNS광고마케터

의료 산업 전문 마케터

진심을 다해 성과를 이행하겠습니다.

댓글

0

여윤구 AE
TEL. 02-6049-4458
E-mail. skh00048@ampm.co.kr
Copyright ⓒ 2019-2025 AMPM 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