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전문몰 협력광고 선택, 결제추정금액과 주 고객 연령층을 확인하세요.
작성자 이정택
작성일 2025.05.23
조회수 45
온라인 전문몰 협렵광고를 고민하고 계시다면 전문몰 별 순 결제추정금액과 주 고객 연령층을 비교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주요 온라인 전문몰 광고 평균 광고 노출당 비용 (CPM 기준)
오늘은 대표적인 온라인 전문몰 별 순 결제추정금액 순위와 주 고객 연령층 그리고 평균 광고 노출당 비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시사점
-
광고 효율 우선순위: 컬리, 무신사, 크림, 오늘의집은 결제 전환율이 높은 채널로 판단되어 ROAS 중심 광고 집행에 유리.
-
패션앱 광고 전략: 지그재그/에이블리는 도달보다는 전환 중심의 UX개선 및 가격 전략 보완 필요.
-
콘텐츠커머스 연계 강화: 오늘의집/무신사처럼 커뮤니티+쇼핑 연계 전략이 결제 확대에 효과적임을 시사.
앱 | 핵심 연령대 | 주요 인사이트 |
---|---|---|
컬리 (식료품) | 30대(29.2%), 40대(28.9%), 50대(22.5%) | 구매력 있는 기혼 여성 중심, 안정성과 품질 강조 필요 |
무신사/29CM (패션) | 20대(41.3%), 30대(30.4%) | MZ세대 중심의 스트릿/트렌디 패션 타겟, 비주얼 중심 마케팅 유효 |
크림 (패션 리셀) | 20대(43.0%), 30대(36.8%) | 하이엔드+리셀 수요 높은 젊은 남성 타겟에 집중 |
오늘의집 (인테리어) | 30대(43.1%), 40대(24.6%) | 집 꾸미기, 혼수 수요층 중심, 커뮤니티 마케팅 적합 |
올리브영 (뷰티) | 20대(28.7%), 30대(28.4%), 40대(25.6%) | 넓은 세대 타겟 → 연령 맞춤형 콘텐츠 추천 유효 |
에이블리 (패션) | 20대(37.7%), 30대(28.7%) | 여성 20~30대 집중, SNS + 스타일링 콘텐츠 광고 최적 |
지그재그 (패션) | 20대(55.4%) | Z세대 여성 독점 구조, 쇼츠/틱톡 등 숏폼 광고 효과 극대 |
퀸잇 (패션) | 50대(49.8%), 60대 이상(27.5%) | 중장년 여성 맞춤 플랫폼, 고신뢰+실용성 중심 마케팅 전략 필요 |
아이디어스 (인테리어/핸드메이드) | 40대(29.2%), 50대(29.2%), 60대 이상(8.3%) | 취향 기반 큐레이션 플랫폼, 감성 + 스토리텔링 콘텐츠 적합 |
주요 온라인 전문몰 광고 평균 광고 노출당 비용 (CPM 기준)
1. 컬리
- 옥외 광고의 CPM은 광고 위치, 타겟팅, 광고 기간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1,000명 노출당 비용은 11,248원 정도입니다.
- 온라인 광고의 CPM은 2018년 자료 기준으로 1,000명 노출당 비용이 500~1,000원 수준입니다. 하지만, 2022년 Facebook 기준 평균 CPM은 $7.19(약 9,000원)까지 상승했습니다.
컬리의 경우, 새벽배송, 식품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1,000명 노출당 비용이 1,500원~3,000원 정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일반적인 추정치이며, 실제 CPM은 광고 매체, 타겟팅 방식, 광고 효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올리브영
올리브영 광고의 평균 CPM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인 메타 광고의 경우 1000회 노출당 약 3.6달러 (약 4,800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올리브영 협력 광고의 경우, 지난 4월부터 운영 시 평균 CPM이 1500원이었다는 사례도 있으며, 5월 8일부터 신규 광고 세트의 CPM이 300원으로 하락했다는 사례도 있습니다.
3. 에이블리
에이블리의 평균 CPM은 특정 상황이나 광고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 1000회 노출당 500원부터 2000원까지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CPM은 광고 노출당 비용으로, 에이블리 광고 시스템에서 광고주가 설정한 예산과 경쟁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위 평균 CPM은 일반적인 추정치이며, 실제 CPM은 광고 매체, 타겟팅 방식, 광고 효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강조드립니다.
광고 CPM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점들을 참고해야 합니다
- 상품 판매, 브랜드 인지도 상승 등 캠페인 목표에 따라 CPM이 달라집니다.
- 타겟 고객층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연령대나 성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광고의 내용과 형식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광고나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가 더 높은 CPM을 가질 수 있습니다.
- 광고 시장의 경쟁 상황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경우, CPM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브랜드가 주로 사용하는 광고 플랫폼(예: 구글 광고, 페이스북 광고 등)에 따라 CPM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브랜의 광고 CPM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위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분석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협력광고 진행 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지표와 자료와 함께 알아 보았습니다.
협력광고는 유용한 광고 수단 중 하나이지만 자사 브랜드의 특성과 진행하려고 하는 협력광고 플렛폼의 특성을 고려하며
두 브랜드의 특성이 조화롭게 이루어질 때 가장 큰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따라서 자사의 브랜드가 협력광고를 진행 했을 때 좋은 성과를 이루어 낼 수 있는가는
협력광고 매체사 선택과 그 후의 전략적 운영 방안이 핵심 요소입니다.
추가적으로 협력광고에 대해 궁금하신 광고주님들은 개인적인 문의 주시면 성실히 답변 드리겠습니다.
AMPM GLOBAL 퍼포먼스 마케터 이정택 AE 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