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이 잘 나오는 키워드, 왜 갑자기 실적이 떨어졌을까?

작성자 박준우
작성일 2025.07.03
조회수 59

1c855002-e4bc-4882-afc0-75c379dbe29d.png


1. 키워드 자체보다 ‘문맥’이 바뀐다
많은 마케터가 한동안 잘되던 핵심 키워드가 어느 순간 성과가 급감하는 상황을 겪습니다. 이때 가장 흔한 착각은 “경쟁이 심해졌나?”, “CPC가 올랐나?”입니다. 물론 이런 요인도 있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는 사람들의 ‘의도’와 ‘문맥’이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같은 키워드라도 계절, 사회 이슈, 제품 트렌드에 따라 사용 이유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2. 키워드 전환율 하락의 전조 현상
전환율이 급격히 떨어지기 전에는 다음과 같은 전조가 관측됩니다.

  • 클릭수는 유지되지만 체류시간이 줄어든다

  • CTR은 그대로인데 전환수만 급감한다

  • 검색어 리포트에 ‘의도와 다른 검색어’가 섞이기 시작한다
    이런 현상은 곧 해당 키워드의 검색 맥락이 기존 전환층에서 벗어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3. 키워드 실적 하락, ‘광고 문구’가 원인일 수도
예를 들어 ‘초음파 세척기’라는 키워드에 대해 기존에는 ‘업소용 세척기’ 수요가 많았다면, 최근에는 ‘가정용’ 검색이 많아질 수 있습니다. 이때 광고 문구가 여전히 ‘식당, 업소, 직원 고민’ 중심이라면 트래픽은 들어오지만 관심도는 낮아지고 이탈은 빨라집니다. 검색어는 같아도 소비자는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4. 검색어 매핑 정책과 자동 확장의 영향
구글이나 네이버 모두 정확일치라도 관련 검색어 매핑을 통한 자동 확장 노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같은 키워드여도 ‘질문형’, ‘정보 탐색형’, ‘구매 결정형’으로 문맥이 나뉘는데, 광고 시스템이 이를 오인해 매칭하면 성과와 무관한 클릭이 대거 유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체 정책 변경이나 자동 확장 범위를 정기 점검해야 합니다.

5. 키워드 유지 여부는 데이터로 결정하자
성과가 떨어진 키워드라도 무작정 제외하면 타겟층까지 놓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검색어 리포트 기반으로 ‘전환을 유도한 실질 검색어’를 정밀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의 노출방식을 조정하는 것입니다. 일치 유형 변경, 타겟 문구 수정, 자동 확장 제외 등 정교한 조정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검색 키워드의 실적은 고정된 것이 아닙니다. 동일 키워드라도 검색 맥락이 변하면 완전히 다른 퍼포먼스를 냅니다. 항상 사용자 ‘의도’의 변화에 주목하고, 성과 하락의 원인을 데이터 중심으로 해석해보세요. 실적 하락의 본질이 궁금하다면 언제든 마케팅 분석을 도와드리겠습니다.

마케터자격이수

데이터로 대답하고, 성과로 약속합니다.

어느 분야에서도 '절대' 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절대' 값이 없는 마케터로  결과 달성이 아닌 꾸준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댓글

0

전화문의
02-6049-4104
평일 09시~18시(점심시간 12시~13시)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 휴무
Copyright ⓒ 2019-2025 AMPM 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