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용품업체 성과 개선하기
안녕하세요 광고 퍼포먼스 4팀 전지솔입니다.
광고의 순환을 통해 높은 성과를 만들 수 있다는 부분을 보여드리기 위해 오늘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자사 제품중 시즌을 타는 제품이 있다면 그 제품을 얼마나 잘 다양하게 보여주는지가 광고 성과에 대한 부분을
좌우한다는 점을 보여줄 수 있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제품의 시즌은 겨울철이며, 1월 기준으로 라이브 되었습니다. (소재)
해당 데이터를 보시면 수익률의 큰 차이는 없으나 전환율 및 전환당 비용이 1월 기준으로 크게 감소한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클릭률도 꾸준히 개선되고 있습니다. 전환수의 경우 쇼핑검색 기준으로 11월 12월 수치를 다 합산하여도 1월 전환수를 따라 잡진 못 합니다.
또한 GFA (성과형배너)를 집행하면서 수익률은 배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수익률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례에 대해서 어떤식으로 운영하게 되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기존에 해당 업체의 경우 고비용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으나 시즌에 맞는 소모성 제품을 판매하므로써
그 제품에 대한 시즌 노출을 진행하였습니다.
자동차 판 (노출) - 네이버 (검색) - GFA (카달로그) 이 순서를 통한 실 구매층에 제품 인지
검색을 통한 제품 유도 이탈 되더라도 카달로그를 통한 리타겟팅
사실 GFA는 리타겟팅의 개념이 없지만 쇼핑 카달로그를 진행할 경우 리타겟팅처럼 유저들을 따라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분이 시너지가 되어 성과의 경우 단일 항목에서만 발생한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전체 스토어 매출도 11월 12월 대비 1월 매출이 약 700만원 가량 증가할 수 있었습니다.
광고를 집행하다보면 광고주 측에서 이렇게 다양한 광고를 집행해야 되는 지에 대한 부분을 의문을 갖곤 합니다.
현 사례의 경우 시즌 (타이밍)이 맞는 경우에 더 부스터를 달아 줄 수 있는 것으로 다매체를 운영하는 것을 제안 드린 부분이고
적어도 스토어를 운영 중이라고 하시면 GFA 카달로그 광고를 통하여 스토어 유입자들을 한번 더 유입 시켜주시는 부분이
필요하지 않을까 제안드리고 싶습니다.
만약 GFA 광고가 처음이라고 하시면, 언제든지 궁금한 점 문의 해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