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소재 이렇게 해야 잘팔린다 1탄!!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퍼포먼스광고디자이너 손선인입니다^ㅇ^
저번엔 메타 머신 러닝에 대해 이야기해봤었는데요,
오늘은 메타광고 소재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요즘 메타광고 안하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많이 하시는데요,
다들 소재 제작 잘하고 계시나요?
메타광고도 소재에 따라서 성과가 좌지우지 되는 편입니다.
그래서 어떤 소재를 어떻게 올려야 매출이 올라가는지 다 알려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소재를 어떻게 올려야할까? 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먼저 광고 소재 종류입니다. 총 3가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광고관리자>새 판매 캠페인>새 판매 광고 세트>새 판매 광고>광고설정에서 체크가능)
1. 단일 이미지 또는 동영상(릴스)
-인스타나 페이스북 게시물 중간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 광고로,
인스타는 하단에 페이스북은 상단에 텍스트가 붙습니다.
- 추천하는 소재 이미지로는 사람이 함께하는 네이티브한 소재가 노출이 많이 됩니다.
- 텍스트는 확장버튼 클릭 없이 노출되는 텍스트가 상단의 2줄이기 때문에
그 안에 후킹하는 메세지를 적어 사람들의 클릭을 유도합니다.
- 예전에는 피드, 스토리 등에 다 올릴 수 있는 1:1사이즈로 많이 제작했지만
하지만 요즘엔 꽉 차보이는 4:5 사이즈가 트랜드입니다.
- 릴스광고(동영상)은 알고리즘 기반으로 진행되어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이라던지 단순히 제품의 정보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
컨텐츠적으로 제작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 동영상은 화면을 채우는 9:16의 비율 추천하고 15초 안에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야합니다.
- 식당처럼 모객을 해야하는 매장이나 숙소 등 DB업종에선
네이티브한 영상들로 릴스 광고를 추천합니다.
2. 슬라이드
- 이미지를 넘기는 형식으로 카드뉴스로도 쓰이기도 합니다.
- 최대 10장까지 올릴 수 있고 영상과 이미지 함께 사용이 가능합니다.
- 내용이 많거나 텍스트를 많이 작성해야한다면 이 방식을 추천하지만
사람들이 끝까지 보지않을 가능성이 있기에 정말 정보성을 띄는 소재거나
이미지를 한번에 많이 보여줘야할 때 추천드립니다.
3. 컬렉션
- 카탈로그를 기반으로 하고, 상품이 많은 브랜드에게 추천하지만
상품이 별로 없거나 종류가 적은 상품들을 판매한다면 비추천합니다.
- 카탈로그 광고와 같이 다른 상품들과 로테이션 되면서 맞춤 노출이 되는 방식이라
주력상품만 집중 노출하기는 힘들어서 주력으로 미는게 있다면 다른 형식을 추천합니다.
- 이미지, 슬라이드와 비교했을 때 노출이 정확하지 않아서 광고비 누수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