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SEO (검색 엔진 최적화) 개념 작성 방법 간단 정리!
안녕하세요.
최서진 마케터 입니다 :)
오늘은 구글 SEO (검색 엔진 최적화) 개념 작성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
SEO?
블로그 포스팅을 하시다보면 SEO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접해보셨을 겁니다.
아무래도 생소한 용어이기 때문에 어렵게 느껴지는데요, 의미는 '검색 엔진 최적화'입니다.
말 그대로 SEO는 검색에 어떻게 하면 잘나오게 되는지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네이버도 SEO 로직이 있습니다.
솔직하게 SEO는 대단한 것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네이버의 경우에는 '저품질 블로그 피하는 방법' , '인플루언서 선정되는 방법', '상위 노출 되는 방법' 만
검색해서 나오는 정보들이 SEO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글 SEO 검색 엔진 최적화
사실 네이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포털 사이트면서 검색량이 많습니다.
따라서 SEO 로직이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구글이나 빙 등의 플랫폼에서도
내가 쓴 게시글이 노출되도록 하려면 보다 신경을 써줘야 합니다.
그래서 '구글 SEO'를 중요시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SEO와 관련해서는 비싼 강의들도 많은데요, 개인적으로는 어렵게 받아들이지는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구글이 좋아하는 글쓰기' 형식에 따라서 포스팅을 하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사실 로직이 워낙 방대하고 알고리즘이 있기 때문에 완벽한 구글 취향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구글 SEO와 관련해 구글에서 직접 친절하게 기본 가이드를 안내해주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봤을 때 필수적으로 해야하는 SEO를 살펴보겠습니다.
구글 SEO 글쓰기 방법
1. 이미지 대신에 텍스트를 많이 넣는다.
구글은 네이버와 다르게 텍스트를 많이 좋아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사진을 많이 넣는 것 보다는 텍스트를 많이 채워넣는 것이 전문성이나 체류 시간 등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페이지 로딩 시간도 SEO에 영향을 끼친다고 하는데, 이미지가 많으면 많을 수록 페이지 로딩 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텍스트를 많이 채우는 것이 좋습니다.
2. 태그를 쓴다.
네이버에서는 '#'으로 쓰는 태그를 뜻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파악한 바로 태그는 크게 3가지 정도가 있습니다.
H태그 / 이미지태그 / 메타태그 입니다.
구글에서는 '목차'를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러한 목차의 순서를 만드는 방법을
'H태그'라고 합니다. 예시로 중세시대 신분으로 표현했습니다.
좌측처럼 H태그를 걸어서 작성하면 우픅퍼럼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글의 제목, 소제목, 내용 등을 구분지어서 표현하는 것이 SEO에는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미지태그'는 이미지를 삽입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달아놓는 것입니다.
네이버에는 단순하게 하단에 사진 설명만 하면 되지만
워드프레스에서는 이미지에 대한 설명도 짧게라도 작성해줘야합니다.
'메타태그'는 검색했을 때 나오는 '요약문' 정도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설명을 보면, META 태그는 검색엔징과 기타 페이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HTML 태그라고 합니다.
3. 검색 엔진 등록한다.
세 번째는 '검색 엔진 등록' 입니다.
말이 어려운데, 그냥 내가 만들 사이트가 네이버, 다음, 구글, 빙 등등 여러 플랫폼에서
검색될 수 있도록 등록하는 것입니다.
네이버의 서치어드바이저, 구글 서치콘솔 등등 각자만의 이름이 있는데,
여기에 도메인을 등로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유입도 가능하기 때문에 꼭 해줘야 겠죠?
4. 글 작성 시에 내부 링크, 외부 링크를 걸어 놓는다.
포스팅을 진행할 때 워드프로세스는 내부 링크와 외부 링트를 걸어 놓는 것을 좋아합니다.
즉 이용자가 계속해서 접속을 유지하고 정보를 연쇄적으로 찾아볼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결국 '구글 SEO 글쓰기'는 구글이 좋아하는 이상형으로 글을 쓰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은 정답이 아니라 널리 알려진 것들 중에서 몇가지입니다.
특히 SEO를 맞춘다고 해서 상위 노출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쉽게 '짝사랑'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래서 결론은 '키워드 싸움'입니다. 이는 네이버와 똑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는 키워드, 유입이 많은 키워드를 찾고 포스팅을 하는 것이 첫 시작이지 않을까요?
지금까지 최서진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