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추적의 중요성 #2

작성자 한영빈
작성일 2025.05.23
조회수 28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한영빈마케터입니다 !


오늘은 이전 글에 이어 전확 추적이 중요한 이유 2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1. 광고 전환 데이터를 추적하는 도구 소개


전환 데이터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나 랜딩페이지에 특정 코드를 설치하거나,

추적 가능하도록 설정을 해야 합니다.


1-1)    구글 애널리틱스(GA4)

구글에서 제공하는 무료 웹사이트/앱 분석 도구입니다
소비자의 행동 전반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전환 이벤트를 설정하고, 특정 페이지의 방문, 버튼 클릭,



파일 다운로드 등 다양한 행동을 전환으로 정의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



광고 플랫폼과 연결하여 광고의 전환 기여도를


측정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NT파라미터 활용하여 페이드 광고 외 자연유입,


바이럴 등 추적이 어려운 매체 유입 확인 가능


 


1-2)    메타 픽셀




픽셀이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광고 성과 측정을 위해 소비자의 행동을


추적하는 목적으로 웹사이트에 설치하는 코드입니다.






웹사이트에서 발생하는페이지 조회”, “장바구니 담기”, “구매 완료등 다양한 이벤트를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 타게팅이나, 리타게팅 광고 등 활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른 소셜 플랫폼에서도 유사한 추적 도구를 제공합니다 (틱톡,엑스(트위터) )



 


1-3)    각 광고 플랫폼별 전환 추적 로그분석 코드 활용







-네이버광고, 카카오광고 등 광고 플랫폼은 자체적인 전환 추적 코드를 제공하기 때문에,


위 도구를 충분히 활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 네이버 프리미엄 로그 분석 / 카카오 픽셀 / 당근 전환추적 등






3. 광고 목적에 따른 전환 데이터를 체크 방향성






-광고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광고를 집행하느냐 따라 중요하게 봐야할 전환 데이터 값과 성과지표가 달라짐




3-1) 쇼핑몰/이커머스 업종의 경우


일반적으로 핵심 전환 목표는 구매 전환 입니다.





이외 주요 지표들로는 전환율”, “ROAS”, “평균 구매 비용 등 있습니다.






어떤 광고 채널의 캠페인에서 어떤 키워드와 타겟에서 높은 ROAS와 구매전환율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그 상황에 맞는 분석을 진행하여, 분석 데이터가 의미하는 소비자의 양상을 분석, 추론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



도출된 인사이트를 토대로 제품과 광고 소재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3-2) 서비스 문의 등 DB업종의 경우


핵심 전환 목표는: 상담 문의, 고객 정보 제출, 구독, 양식 작성 등 리드를 확보하는 데 있습니다.


주요 지표로는, 전환율”, “CPA(전환당 비용)” 등 있으며,


어떤 광고 소재, 랜딩 페이지에서 낮은 CPA(DB단가) 많은 리드가 발생하는지 분석합니다. 리드 뿐만 아니라 까지 추적할 수 있다면 더욱 좋습니다.


 


3-3) 데이터 분석을 통한 실질적인 인사이트 발굴 예시


가령,


A캠페인의 모바일 전환율이 데스크톱보다 30% 낮은 것을 확인



-> 모바일 랜딩 페이지에 문제가 있나? 구매전환으로 이어지는 뎁스가 많은가?



문제를 확인해보고, 후속 조치를 취하는 것


“SNS”광고에서 유입된 고객들의 전환율이 다른 매체에서 유입된 고객들보다 높다



-> SNS매체의 타게팅 및 소재의 예산 비중을 늘리거나 강화하는 것.





이처럼, 데이터를 단순히 확인 하는 것을 넘어,


? 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며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후속 조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도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MPM글로벌 한영빈 마케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케터자격이수

브랜드에 날개를 달아주는 마케터 한영빈AE

데이터 기반의 "인사이트""창의적인 전략" 을 통해 
브랜드의 가치를 극대화 하는 것,

그것이 저의 역할이자 사명입니다.

광고 그 이상, 브랜드의 날개를 달아주는 것
성과로 이어지는 마케팅을 함께 만들어가겠습니다.

성공적인 캠페인, 저와 함께 시작하시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