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MPM글로벌 한영빈 마케터입니다 !
어떻게 효율적으로 진행하면 좋을지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광고 캠페인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과를 어떻게 분석하고 리포트로 정리하느냐 입니다.
이 때,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활용하면,
단순한 보고서 작성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 광고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광고 리포팅 시 보다 체계적으로 만들기 위한
핵심 단계와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리포트 목표와 매체별 항목 설정
광고 성과 리포트는 목표에 맞는 지표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신규 고객 확보”가
목표라면 CTR,CPA가 핵심
“매출 극대화”가 목표라면
ROAS와 전환매출액이 중요합니다.
즉, 모든 데이터를 담는게 아니라,
“핵심 성과지표(KPI)”에 집중하는 것이 리포트의 가치를 높입니다.
2)
핵심 성과 지표 정리
광고 효율을 대표하는 지표는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입니다.
이 지표들은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가령, CTR이 높은데, CPA도
높다면?
-> 타게팅 문제를 점검해보아야 합니다.
3)
시간 지표 정리 (일별 추세 분석)
일별 데이터를 정리하면 성과의 흐름과 패턴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주말 대비 평일 성과 차이
-특정 프로모션 기간의 효과
-시즌성 트렌드
스프레드시트의 차트 기능을 활용하면 시각화가 용이합니다.
단순하게 “지난 주 대비 이번 주 성과가 좋아졌다” 가 아니라,
어떤 요인 때문에 이러한 변화가 발생하였는지 까지 분석해내는 것이 인사이트의 핵심입니다.
4)
조건부 서식으로 문제 영역 확인
조건부 서식을 활용하면 지표별 성과 구간을 직관적으로 시각화 할 수 있습니다.
가령,
-CTR이 1% 미만이라면
빨간색
-ROAS가 300% 이상이면 초록색 등
수많은 행 데이터 속에서도 성과가 떨어지는 구간과 잘되어가는 구간을 한눈에 파악하기 용이합니다.
이는 단순한 디자인의 기능이 아니라, 한눈에 빠른 의사결정을 돕는
분석 도구입니다.
5)
데이터 표와 월별/ 매체별 Summary
데이터가 누적되면 결국 요약 리포트가
필요합니다.
-월별 요약 -> 지난달
대비 성과 비교
-매체별 요약 -> 어떤
매체의 효율이 가장 좋은지 확인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피벗 테이블을 활용하면 손쉽게 요약 데이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 예산 재배분, 신규 매체 테스트 여부,
프로모션 전략 등 실질적인 의사결정으로 연결이 가능합니다.
결론은,
광고 리포트는 단순 보고용 자료가 아니라,
마케팅 전략을 최적화하기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보다 자세한 인사이트 도출 법 등 궁금하시다면
언제든지 편하게 문의 주세요!
업체별, 업종별 상황에 맞는 방법을 컨설팅 해드리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MPM글로벌 한영빈 마케터였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