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광고 성과 증진 '이것'하나면 충분합니다! (구글 완전정복 4탄)
안녕하세요 여러분 전석희 AE입니다!
지난 구글 완전정복 시리즈 3탄까지를 통해서 이제 구글 광고가 무엇이고
왜 집행해야 하는지를 아셨다 생각하는데요 :)
따라서 오늘은 직접 캠페인 생성은 어떻게 하는 것이고 그에 따른 꿀팁 또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구글 애즈>
다음은 구글 애즈로 들어가 캠페인을 생성하는 화면입니다!
구글은 타 매체와 다르게 캠페인의 목표 설정이 가능한데요,
같은 광고를 집행하더라도 그 목적에 따라 집행 방향은 상이합니다.
온라인 상에서 구매까지 이어지는 이커머스 업종은 아무래도 구매가 궁극적인 목표인 반면에
창업 문의, 이사, 인테리어와 같은 DB업종은 전화통화를 통해 발생한 리드,
페이지 조회, 리드 양식 제출 등이 KPI가 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내 업종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신 후 광고 소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구글 애즈>
다음은 제가 임의로 생성한 캠페인인데요, 전석희 마케터를 광고하고자 하였을 때
그 사람이 가진 장점들을 나열해야겠죠? 따라서 첫번째로내 상품 이름, 특화된 분야, 특징점 등을 입력한다면
화면상과 같이 무슨 의도로 광고하는지가 보이겠죠?
<출처: 구글 애즈>
소재 이미지에 따라 배너 광고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노출됩니다!
내가 보여주고 싶은 이미지, 로고,
문구를 등록하여 검색광고와 배너 광고 모두 집행이 가능합니다.
이렇듯 소재를 만들었으면 이제 타겟팅을 해야겠죠?
<출처: 구글 애즈>
구글은 CPA(전환당 비용) 설정이 가능합니다. CPA 광고는 주로 DB업종에서 자주 선택하는 형태이며
고객의 행동(회원가입, 전화, 상담신청)등등을 전환으로 간주해 그 횟수 당 비용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DB업종의 경우 다음과 같이 평균 객단가가 15000원 선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커머스 업종의 경우 같은 구매라도 물품 단가에 따라 그 가치가 상이하기에 이런
CPA에 집중하는 것은 무의미하겠죠?
<출처: 구글 애즈>
따라서 전환 가치 즉 타겟 ROAS에 집중합니다.
ROAS는 광고 대비 매출 증대가 얼마나 일어났냐를 나타내는 지표인데요
품목 별로 가격이 상이하기에 ROAS라는 목표를 두게 된다면 그에 맞는 예산 설정이 가능합니다.
이렇듯 구글은 업종별로 상이하게 광고를 진행할 수 있어 광고주에게 큰 메리트를 주는 매체입니다.
여기에 구글이 자랑하는 세부 타겟팅까지 더해진다면 전환률이 높을 수 밖에 없겠죠?
네 오늘 준비한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저는 다음 구글 완전정복 시리즈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 문의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 전석희 AE를 찾아주세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