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GFA 네이버 세미나 비법 내용 공유!

작성자 김창빈
작성일 2024.02.14
조회수 602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김창빈 입니다.


이번에 네이버 역삼스퀘어 세미나 참석을 통해 근래 급격하게 바뀌는 GFA의 현황과

기존 데이터를 토대로 GFA 세팅 비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근래 네이버 내부에서는 서드파티 이슈를 대비하기 위한 자체 데이터 확보와 이를 통한 광고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생성형 AI 및 오퍼애드, 다양한 DA구좌를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이에 네이버내 데이터를 통해 간략한 GFA 캠페인 구성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캠페인 >> 목적별 최소화 >> 광고그룹>> 지면별>> 소재 (3~5개)

해당 세팅은 캠페인을 세팅했을때 각 광고 목적에 따른 상세세팅을 최소화하여 광고 캠페인을 구성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머신런닝의 학습시간을 줄여서 진행하는 것입니다.


2. 캠페인 >> 광고그룹 다수 >> 고효율 소재 1개만 빠르게 선별 >> 빠른최적화

해당 세팅은 학습 최적화 없이 빠르게 고효율 소재를 솎아내어 세팅 하는 방식입니다. 


3. 다수캠페인 >>  논타겟/데모타겟으로 진행 >>  주력성과그룹/소재 단일 운영 

해당 세팅은 다수의 캠페인 생성을 하여 각각의 성과 그룹과 소재를 단일 운영하여 

정확한 소재별 데이터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또한,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자동입찰 진행시는 CPC의 자동 분리로 따로 분리운영 안해도 되고 

정확한 소재의 효율 측정을 위해서는 신규 캠페인을 생성하여 새로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광고 세팅시에는 최소 도달수 500만 이상이 적절하기 때문에 지나친 타겟 세분화는 좋지 않습니다.


이처럼 네이버 GFA의 세팅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


추가적인 운영 비법은 제가 가지고 있으니 저 김창빈한테 연락주시면 공유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검색광고마케터1급마케터자격이수

키워드는 입찰. 즉, 경쟁입니다. 어떻게 상대를 분석하느냐가 중요합니다.

검색광고는 누구나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 키워드를 노출하는 것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자사에 알맞는 키워드의 선별과 집중과 같은 키워드를 사용하고 있는 경쟁사와의 경쟁을 어떻게 할 지에 대한 전략이 중요합니다.
실제 검색광고는 보다 전략적인 입찰을 통해 불필요한 광고비를 줄이고 광고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검색광고의 성공을 위해서는 시장흐름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쟁사를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많은 경험과 전략을 가지고 있는 마케터가 중요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