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가방 업종 META 운영 사례_2탄

작성자 정현아
작성일 2024.08.30
조회수 243

안녕하세요.

AMPM글로벌 정현아입니다.


지난 번 여성가방 업종 META 운영 사례에 대해서 간략하게 공유드렸는데요.


해당 계정이 이후에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 지 공유드리고자 2탄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




해당 브랜드의 경우  홈페이지 컨디션, 제품 컨디션 등은 좋은 브랜드라고 판단했기에 기존 운영 시 ,


1) 기준이 불분명한 캠페인 분류

2) 단일화 된 소재 운영 / 소재 활용 미흡

3) 타겟 활용 미흡


등 전체 적인 소재 운영에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고 공유드렸는데요. 


해당 부분은 아래와 같이 소재 TEST를 진행하며 소폭씩 개선해나갔습니다.


1) 메인으로 광고 운영할 제품 선정

2) 상세컷 / 인플루언서컷 / 제작소재 등 소재 다양화

3) 소제테스트 진행



집행 초기에는 주력 제품인 가방 / 시계 라인을 모두 운영하고자 하셨기에  판매캠페인을 통해 세트 단에서 제품 군을 분리하여 운영하고 자 했는데요.


아무래도 이럴 경우 예산의 제약이 있다보니 다양한 소재에 대한 테스트가 안 된다는 아쉬움이 있었고,

판매 캠페인에서 효율이 좋았던 시계 제품들은 전체  ASC 캠페인으로 교체하여 노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캠페인 내 저효율 소재는 즉각 off 하고 신규 소재를 계속해서 추가해가며 운영한 결과 ,

전월 대비 ROAS 데이터는 개선된 결과를 맞이하였습니다.




다만 가방 제품의 경우 ASC 캠페인 운영 시 효율이 적어 전체 off 후 현재는 다시 판매캠페인으로 전략 변경 후 유사타겟을 통한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세팅 후 약 2일 정도 지난 상황인데요. 

현재 구매 관련 액션이 나타나고 있어 다음엔 해당 내용을 중점으로 3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